[경제] 인앱 정책 철퇴에 관세 폭탄…성공 방정식 흔들리는 애플
-
7회 연결
본문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가 지난 9일 애플의 신제품 출시 계획을 공개했다. [AP=연합뉴스]
애플의 오랜 ‘성공 방정식’이 흔들린다. 세계 각국 법원이 애플 특유의 폐쇄적인 앱스토어 정책에 철퇴를 내리면서다. 애플이 그간 구축한 중국 중심 공급망도 흔들린다. 엄격한 보안 정책은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로테르담 지방법원은 최근 네덜란드 소비자·시장국(ACM)이 2021년 애플에 시정 명령과 함께 부과한 벌금(최대 5000만 유로)이 정당하다고 판결했다. ACM은 애플의 인앱(In-App) 결제 정책이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근거를 들었다. 애플은 ACM 판단에 불복해 소송을 냈다. 하지만 약 3년간 법정 공방 끝에 사법부도 애플이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했다고 결론 내렸다.
인앱 결제는 앱스토어에서 내려받은 애플리케이션(앱)의 모든 유료 서비스 결제를 자체 시스템으로만 강제하는 정책이다. 애플은 이 과정에서 앱 개발자로부터 결제 비용의 15~30%를 수수료로 받았다. 소비자 충성도를 올리는 데 기여했다.
하지만 특유의 폐쇄성이 최근 반독점 논란으로 번졌다. 지난해 미국 대법원은 애플 앱스토어 정책의 반독점법 위반 여부 소송에서 외부 결제를 허용해야 한다는 하급심 판결을 유지했다. 국내 출판업계도 애플의 인앱 수수료 강제 정책으로 전자책 등 사업자들이 피해를 봤다며 지난달 애플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냈다.
공급망 리스크(위험)도 불거졌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공급망 관리 전문가다. 애플의 생산 거점 대부분을 중국으로 집중시킨 장본인이다. 원가 절감과 공급량 확대를 이뤄내며 애플을 전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하지만 중국 중심 공급망이 트럼프 행정부 들어 미·중 무역 갈등 속 관세 직격탄을 맞는 독(毒)으로 작용했다.
AI도 위기다. 현재 아이폰은 AI 비서와 생성 AI 지우개 등 다양한 AI 기능 분야에서 삼성전자 갤럭시보다 열세라는 평가를 받는다. IT전문 매체 폰아레나는 지난달 애플 내부 발언을 인용해 애플의 강력한 사용자 데이터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애플의 AI 모델 학습 속도를 크게 저해했다고 지적했다. 한때 강력한 보안 정책이 아이폰의 경쟁 우위 요소였지만, 이제는 오히려 애플의 발목을 잡는 결과로 이어졌다. 크레이그 페더리기 애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수석 부사장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자체 AI 모델 역량을 계속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