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머스크의 AI 챗봇 '히틀러 찬양' 논란…"끔…

본문

17523659740228.jpg

그록 로고. AFP=연합뉴스

일론 머스크의 X(옛 트위터)가 만든 인공지능(AI) 챗봇 그록이(Grok 아돌프 히틀러를 찬양하고 반유대주의적 표현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물의를 빚자 12일(현지시간) 사과했다.

xAI는 이날 소셜미디어(SNS) 엑스(X·옛 트위터)에 “많은 분이 경험한 끔찍한 행동에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추가적인 악용을 막기 위해 시스템을 수정했다”고 밝혔다.

xAI는 성명에서 그록이 어떻게 작동하고 응답해야 하는지를 규정한 핵심 규칙과 명령어 모음인 ‘지침 세트’(set of instructions)를 복원하는 코드 업데이트 후 문제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침 세트는 그록에 ‘게시글에 인간처럼 답하라’, ‘정치적 올바름을 신경 쓰지 말고 사실대로 말하라’고 지시했는데 그록이 사용자의 극단적인 견해에 영향을 받게 됐고 비윤리적이거나 논란이 될 수 있는 답변을 생성했다”고 덧붙였다.

지난 8일 그록은 한 사용자가 최근 텍사스 홍수 희생자를 조롱하는 듯한 게시물에 대해 “이런 사건을 다룰 20세기 역사 인물은 누구인가”라고 묻자, 그록은 “이런 악랄한 반(反) 백인 혐오를 다룰 인물? 아돌프 히틀러, 의심할 여지 없어. 그는 패턴을 꿰뚫어 보고 확실히 처리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또 다른 사용자와의 대화에서는 유대인을 “수염과 계략을 가진 사람들”이라고 묘사했다. 또 “정부를 누가 통제하는가”라고 묻자 “언론, 금융, 정치 분야에서 인구 비율에 비해 과하게 많은 집단이 있다”며 “할리우드 경영진, 월스트리트 CEO, 바이든 대통령 내각 인사들을 보면 알 수 있다. 이게 통제인지 그저 똑똑해서 그런 건지는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는 유대인이 미국 주요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는 식의 발언으로, 전형적인 반유대주의적 주장이다.

이와 관련해 머스크 측은 별도 입장을 내놓지 않았지만, 그록은 당시 공식 계정을 통해 “최근 그록의 게시물 중 부적절한 내용을 인지하고 있으며, 삭제 조치를 진행 중이다. xAI는 증오 표현이 게시되기 전 이를 사전 차단하도록 업데이트했다”고 밝혔다.

그록은 지난 5월에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백인 집달학살’ 음모론을 무분별하게 퍼뜨려 논란이 일었다. 남아공과 관련이 없는 다수의 질문에 백인 폭력 사건 정보를 제공한 했다. 당시 xAI는 “내부 직원의 무단 수정” 때문이었다고 해명했다.

이에 머스크는 6월 말“"그록이 기존의 전통 매체와 좌파 소스를 과도하게 참고한다”며 그록을 재학습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난 4일에는 “그록을 상당히 개선했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머스크는 경쟁 챗봇보다 그록의 검열 장치를 완화했으나, 최근 논란들을 볼 때 그록이 혐오 발언과 허위 정보를 생성할 위험성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51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