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우상호 "여론 굉장히 안 좋다"…이진숙·강선우 대통령실 기류 변침

본문

17526598779472.jpg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이 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권 안팎의 임명 불가론이 확산되면서 대통령실의 기류도 일부 낙마는 불가피하다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16일 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 인터뷰에서 “일부 후보자의 경우에는 여론 동향이 굉장히 안 좋게 흘러가는 것을 대통령께 보고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까지는 (이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 보고만 받고 있다”며 “일단 청문회가 다 끝나봐야 대통령에게 대면 보고 하면서 얘기를 들어봐야 되겠다”고 했다. ‘걱정되는 후보자가 있나’란 질문엔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답했다.

‘후보자 전원 임명 기조’라고 전한 한 보도에 대해선 “공개적으로야 다 잘됐으면 좋겠단 입장이지만 걱정되는 부분도 있다. 특별한 기조를 밀고 나가고 있지 않다”고 반응했다. 우 수석은 지난 14일 라디오에 출연했을 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청문회가 끝난 이후 국민 여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볼 생각”이라고만 했었다.

17526598781371.jpg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의원 질의를 경청하며 머리카락을 쓸어 넘기고 있다. 뉴스1

대통령실은 진보 진영 내부의 임명 불가론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날 논평에서 “두 후보자는 중대한 결격사유가 확인돼 국민 눈높이에 미달하는 만큼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선 “보좌관 갑질 논란은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것으로 중대한 결격사유”라고, 이 후보자에 대해선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따른 연구 윤리 위반과 자녀 조기 유학에서 초·중등교육법 위반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치명적인 결격사유”라고 이유를 댔다.

양대 여성단체도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적절하지 않다”(15일, 한국여성단체연합),“공직사회에서 마땅히 지켜져야 할 최소한의 존중과 인권마저 외면한 강 후보자의 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스스로 사퇴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16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도 강 후보자에 대한 반대 성명을 냈다.

17526598783298.jpg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참석해 있다. 전민규 기자

대통령실이 특히 부담을 느끼는 쪽은 강 후보자다. 당초 “단순 의혹 제기 수준”(대통령실 관계자)이라던 기류가 변침한 데엔 지난 14일 관련 물증이 공개된 게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강 후보자는 14일 청문회에서 “보좌진에게 집안 쓰레기 처리를 지시한 적은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이후 당일 저녁 청문회 도중 쓰레기 처리를 지시한 강 후보자의 문자가 언론 보도를 통해 공개됐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의 해명이 언론 보도로 계속 뒤집히고 있다”며 “처음부터 잘못했다고 하면 됐는데, (거짓 해명 논란이 더해지자) 내부 분위기가 바뀐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부적절한 행동이 있었던 것은 맞아 보인다”면서도 “다만 이 문제가 장관직 수행과 직결되는지 따져보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민주당 보좌진 모임인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전직 회장단은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라도 강 후보자는 자진 사퇴하는 최소한의 책임을 지라”고 성명을 냈다.

대통령실 일각에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바라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역 의원 신분이라 지명 철회하기가 부담스럽다”며 “만약 낙마란 방침이 선다면 자진 사퇴 결정을 내려줘야 한다”고 했다. 만약 강 후보자가 낙마한다면 의원 입각이 청문회 과정에서 좌초한 첫 사례다.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를 앞두고 논문 표절과 제자 논문 가로채기 의혹으로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교수단체들로부터 지명 철회 요구를 받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의혹 개수가 지금보다 더 추가되면 입각이 어려울 수 있겠지만, 현재로선 국민 정서를 크게 해치는 정도는 아니라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4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