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강선우 여론악화, 자진사퇴를"…용산 내부 '임명 불가…
-
7회 연결
본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여권 안팎의 임명 불가론이 확산되면서 대통령실의 기류도 일부 낙마는 불가피하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대통령실 일각에서도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16일 오마이TV ‘박정호의 핫스팟’ 인터뷰에서 “일부 후보자의 경우에는 여론 동향이 굉장히 안 좋게 흘러가는 것을 대통령께 보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까지 (이 대통령의) 지시는 없었다. 보고만 받고 있다”며 “일단 청문회가 다 끝나 봐야 대통령에게 대면 보고 하면서 얘기를 들어봐야 되겠다”고 했다. ‘걱정되는 후보자가 있나’란 질문엔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답했다.
‘후보자 전원 임명 기조’라고 전한 한 보도에 대해선 “공개적으로야 다 잘됐으면 좋겠단 입장이지만 걱정되는 부분도 있다. 특별한 기조를 밀고 나가고 있지 않다”고 반응했다. 우 수석은 지난 14일 라디오에 출연했을 땐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청문회가 끝난 이후 국민 여론을 종합적으로 검토해볼 생각”이라고만 했었다.
대통령실은 진보 진영 내부의 임명 불가론이 커지고 있다는 점도 민감하게 받아들이고 있다. 참여연대는 이날 “두 후보자는 스스로 사퇴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논평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선 “보좌관 갑질 논란은 국회의원이라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공적 권한을 사적으로 남용한 것으로 중대한 결격사유”라고 밝혔고, 이 후보자에 대해선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따른 연구 윤리 위반과 자녀 조기유학에서 초·중등교육법 위반은 교육부 수장으로서 치명적”이라는 이유였다.
양대 여성단체도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적절하지 않다”(15일, 한국여성단체연합), “최소한의 존중과 인권마저 외면한 강 후보자의 태도에 깊은 유감을 표하며, 스스로 사퇴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16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고 반대 성명을 냈다. 이날 민주당보좌진협의회(민보협) 전직 회장단은 “강 후보자는 자진 사퇴하는 최소한의 책임을 지라”는 성명을 냈다.
대통령실이 특히 부담을 느끼는 쪽은 강 후보자다. 당초 “단순 의혹 제기 수준”(대통령실 관계자)이라던 기류가 변침한 데엔 지난 14일 관련 물증이 공개된 게 결정적이었다고 한다. 강 후보자는 14일 청문회에서 “보좌진에게 집 안 쓰레기 처리를 지시한 적은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이후 당일 저녁 청문회 도중 쓰레기 처리를 지시한 강 후보자의 문자가 언론 보도를 통해 공개됐다.
강선우 코로나 시기 ‘병동갑질’ 의혹도 불거져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의 해명이 언론 보도로 계속 뒤집히고 있다”며 “처음부터 잘못했다고 하면 됐는데, (거짓 해명 논란에) 내부 분위기가 바뀐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또 “부적절한 행동이 있었던 것은 맞아 보인다”면서도 “장관직 수행과 직결되는 문제인지 따지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 와중에 갑질 의혹은 이날도 추가됐다.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3년 7월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이던 강 후보자가 서울 소재 A대형병원의 보호자 면회 제한 방침을 어겼다는 것이다.
복수의 제보자에 따르면, 강 후보자 가족이 입원한 ‘간호간병 병동’은 자정 전 귀가를 전제로 ‘72시간 이내 코로나 PCR 음성’ 결과를 받은 보호자 1인만 들어갈 수 있는 곳이었다.
강 후보자는 “PCR 결과를 받은 뒤 보호자로 등록하고 오시라”며 출입을 막은 간호사 등에게 “나 국회의원이다”라며 소란을 피웠다고 한다. 목격자인 A병원 관계자는 “일부 간호사는 울음을 터뜨렸다”며 “결국 PCR 대신 간단한 신속항원검사만 받고 보호자 출입을 허용했다”고 전했다. 이에 강 후보자 측은 “아프리카 방문을 앞두고 필수 예방접종을 위한 것이었다”며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대통령실 일각에선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바라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역 의원 지명 철회는 부담스럽다”며 “낙마 방침이 서면 자진 사퇴해 줘야 한다”고 했다. 만약 강 후보자가 낙마한다면 의원 입각이 청문회 과정에서 좌초한 첫 사례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