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신동빈 “10년은 내다봐야”…허태수는 “거대 변화 도래”
-
4회 연결
본문
경기 침체 속에 하반기를 맞은 기업들이 총수 주재의 경영전략회의를 열고 경영의 고삐를 쥐었다.

신동빈
17일 롯데그룹에 따르면,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전날부터 1박 2일동안 경기도 오산 롯데인재개발원에서 ‘2025년 하반기 VCM(옛 사장단 회의)’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신 회장은 “기업 경영에서 치명적인 잘못은 문제가 있는 것을 알면서도 외면하거나, 문제를 인지하지 못하는 것”이라며 “대표이사(CEO)는 5~10년 뒤의 경영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3년 뒤에 해야 할 일을 계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년 상·하반기에 열리는 롯데 VCM은 신 롯데 회장을 비롯해 롯데지주·롯데쇼핑 등 주요 사업군 총괄대표와 계열사 대표 80여 명이 참석해 그룹 경영 방침과 중장기 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다.
롯데그룹 관계자에 따르면 이번 VCM은 시종일관 엄중하고 무거운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신 회장은 올해 상반기 그룹 실적을 냉정하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핵심 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PEST 관점 경영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PEST는 기업의 외부 환경을 정치적(Political), 경제적(Economic), 사회적(Social), 기술적(Technological) 요소 중심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이다. 신 회장은 “브랜드는 우리 사업 경쟁력의 근간이자, 오랜 기간 축적해온 중요한 가치”라며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그룹의 본원적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브랜드 가치 제고에 힘써달라”고 강조했다. 도전적인 조직문화와 업무 효율성 향상을 위해 인공지능(AI)을 적극 활용해달라는 주문도 덧붙였다.

허태수
허태수 GS그룹 회장도 지난 16일 하반기 임원회의를 열고 그룹 사장단과 임원 150여 명에게 ‘기술을 중심에 둔 경영’을 주문했다. 허 회장은 “기술 변화에 둔감하다면 임원 자격이 없다”라며 “거대한 변화가 진행 중인 지금, 기술을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전략의 중심에 두고 실질적인 사업 전환 방안을 치열하게 고민해달라”고 말했다. 또 “모든 사업 현장에 축적된 지식과 데이터는 우리가 가진 가장 강력한 자산이므로 이 자산을 AI와 결합하고, 계열사 간 협업 체계를 강화해 새로운 비즈니스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GS그룹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선 중국 기업의 비약적인 성장, 에너지 산업과 인구·사회구조 변화, 기술 패러다임 전환 등 글로벌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그룹 차원의 전략 방향을 논의했다. 임원들은 정유화학·에너지·유통·건설 등 GS 주력 사업군이 실적 부진을 겪는 가운데, 기술 투자와 실행 중심의 접근을 통해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고 GS 측은 전했다.
인수합병(M&A)과 벤처투자에 관해서 허 회장은 “미래 성장을 위한 유의미한 딜을 추진하고, 벤처 생태계와의 전략적 연계를 강화해 GS의 새로운 성장 기반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