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BYD 안전할까? 이 우려 씻은 폭우속 '시속 120㎞ 코너링'…

본문

17528698750778.jpg

BYD 씰이 경기 용인 에버랜드스피드웨이에서 조향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짐카나(Gymkhana)' 테스트를 하고 있다. 사진 BYD

지난 16일 오후 4시 경기도 용인 에버랜드 스피드웨이. 중국 비야디(BYD)의 전기 세단 ‘씰(SEAL)’이 폭우를 뚫고 서킷을 달렸다. 앞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쏟아지는 장대비에 서킷 곳곳에 물이 고였지만, 씰은 시속 120㎞ 속력에도 미끄러짐 없이 안정감 있게 코너를 돌았다. 씰을 운전한 베테랑 레이서는 “이 정도면 일상생활에선 부족함이 없을 것”이라고 감탄했다.

국내 소비자에게 중국차는 아직 낯설다. 중국차를 경험해본 소비자가 많지 않기에 성능과 안전이라는 차량 선택의 두 기준에서 중국차에는 아직 물음표가 달린다. 씰은 이런 의문을 해소하기 위해 BYD가 자신있게 내놓은 자동차다. 제로백(시속 100㎞까지 걸리는 시간) 3.8초로 테슬라 모델3(4.4초)보다 우수한 가속력, CTB(Cell-to-Body·차체 하부에 배터리팩이 통합) 기술에 따른 안정성, 전장 4800㎜로 모델3(4720㎜), 기아 EV4(4730㎜)보다 크고 긴 차체 등을 두루 갖췄다. BYD코리아 관계자는 “씰은 BYD의 기술이 집약된 고성능 세단”이라고 소개했다.

17528698752897.jpg

BYD 씰이 경기 용인 에버랜드스피드웨이에서 조향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짐카나(Gymkhana)' 테스트를 하고 있다. 사진 BYD

외관도 중국차스럽지 않다. 전면부는 모델3, 애스턴마틴과 비슷한 날렵한 인상에 공기 역학을 낮추기 위한 유려한 곡선이 차 전체를 감싼다. 차에 올라타면 다소 통일감이 부족한 인테리어에 고개를 갸우뚱하게 되지만 BYD가 한국에 먼저 출시했던 ‘아토3’의 원통형 송풍구·손잡이에 비하면 100배는 나아졌다. 헤드레스트 일체형 천연나파 가죽 시트가 몸을 편하게 감싸줬고, 볼보를 연상케 하는 크리스털 기어봉(전기차에 기어봉은 없애는 추세지만)도 고전적이었다.

실제 주행 감각은 어떨까. 씰 다이내믹 AWD(사륜구동) 모델에 올라탔다. 두 손으로 핸들을 쥐었을 때 모델3, EV4에는 없는 묵직함이 느껴졌다. 가속페달을 밟자 속도가 서서히 올라갔다.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모델3, EV4 등 다른 전기 세단과는 달리 내연기관차처럼 약간의 시차가 발생하는 건 의외였다. ‘휙’하고 튀어나가는 다른 전기차와 달리 씰은 ‘스르륵’ 움직인다는 표현이 더 적합해 보였다.

17528698755037.jpg

BYD 씰 운전석에 앉았을때의 운전자에게 보이는 각종 인테리어 모습. 사진 김효성 기자

가장 걱정했던 건 사실 제동 성능이었다. 서킷이 젖어 있었던 데다 “중국차가 과연 안전할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약 15분간 총 길이 4.346㎞의 서킷을 여러 번 도는 동안 코너와 직선 구간에서 시속 140㎞ 급가속했다가 급제동하기를 수차례 반복했지만 미끄러짐, 밀림 등의 현상을 느끼지는 못했다.

BYD의 토크 분배 시스템인 ‘iTAC’ 기술 때문이다. iTAC은 휠 슬립(바퀴가 노면을 제대로 물지 못하고 헛도는 현상), 언더스티어(핸들을 돌린 것보다 차가 덜 돌아가는 현상)가 발생하기 직전 전기모터 토크를 제어하는 기술이다. 한쪽 휠에 상대적으로 강한 토크가 걸려 있다면 다른 쪽 휠에 토크를 분배해 바퀴가 헛돌거나 한쪽으로 확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빗길, 눈길은 물론 일반도로 주행에서도 안정감을 준다.

17528698757141.jpg

BYD 씰이 경기 용인 에버랜드스피드웨이에서 폭우 중 서킷 주행을 하고 있다. 김효성 기자

꽤 괜찮은 전기차이지만 소비자가 선뜻 지갑을 열 지는 미지수다. 씰의 소비자가격은 4690만원(다이내믹 AWD 단일 트림 기준)으로 전기차 보조금(약 150만원 추산)을 받더라도 약 4500만원을 내야 한다. 기본 트림이 4042만원인 기아 EV4의 경우, 약 576만원의 보조금을 받으면 3500만원대에 살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씰의 가격경쟁력이 좋은 건 아니다. 그렇다고 ‘어디 내놔도 빠지지 않는 고성능 전기 세단’으로 씰을 선택하기에는 아직 중국차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부족하다. “BYD에겐 시간이 필요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2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