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김건희 논문 검증한 교수단체 "이진숙 논문 복제 수준…사퇴해야"
-
5회 연결
본문

김경한 전국사학민주회교수노조 위원장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용산구 비앤디파트너스 서울역점 강당에서 열린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논문표절 의혹 검증을 위한 범학계 국민검증단 대국민 보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시스
‘범학계 국민검증단’은 20일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해당 논문은 논문이 아닌 복제물 수준”이라며 “이 후보자는 자진 사퇴하고, 대통령실은 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검증단은 김건희 여사 논문 검증을 주도했던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 등 11개 교수단체로 구성돼 있다.
검증단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 후보자의 주요 논문을 원문과 1대1 대조하는 방식으로 정밀 검증한 결과, 복사·붙여넣기 수준의 구조적 유사성이 확인됐다”며, “단순한 표절을 넘어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심각한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검증에 활용된 논문은 이 후보자가 충남대학교 재직 시절인 2018년 발표한 ▲「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피로감 평가 연구」▲「조명의 면적 및 조도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평가 연구」 등이다. 제자인 A씨의 박사학위 논문인 「시스템 조명의 연출 변화에 따른 불쾌글레어 설계 지표 연구」 등도 포함됐다.
검증단은 이들 논문이 실험 설계와 데이터, 문단 구성, 결론 해석까지 유사하며, 표현만 일부 수정해 중복 발표됐다고 밝혔다. 특히 평가 방법과 결론 문구에서 거의 동일한 문장이 사용됐다는 점도 근거로 제시했다. 검증단은 “이는 단순한 유사성이 아닌, 반복 활용과 중복 게재 등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라고 규정했다.
검증단은 “표절 탐지 프로그램으로는 포착할 수 없는 실험 설계와 문단 구성, 해석 등 본질적 유사성을 직접 원문 대조를 통해 밝혀냈다”며 “교육 행정을 총괄할 자격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검증단은 “이 후보자가 임명될 경우 교육부의 학술·연구·윤리 정책은 정당성과 설득력을 잃을 것”이라며, “필요 시 국제 학술기구와 연대해 대응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후보자는 지난 16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약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와 외부 전문가들이 검증했고, 모두 표절률이 10% 미만으로 확인됐다"며 "제자 논문을 표절하거나 가로챈 적은 결코 없다"고 반박한 바 있다.
검증단은 지난 14일에도 대국민 보고회를 열어 이 후보자의 논문들이 연구윤리를 심각하게 위반했다고 주장하며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