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시장 공석’ 대구시 국감…홍준표 전 시장 행정 도마에

본문

btc2979a755bd921933d9e6caf7e3d0ed5.jpg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이 2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 뉴스1

27일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 국정감사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 기념 사업, 대구 취수원 이전 협약 파기 등 홍준표 전 시장 재임 당시 진행했던 사업과 정책이 도마 위에 올랐다.

이날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대구시 국감의 주요 타깃은 ‘박정희 동상’이었다. 이상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동상 건립에 대한 법적 분쟁도 있고 훼손 우려도 있는데 초소를 세우면서까지 동상 건립을 추진할 필요가 있느냐”며 “역사적 평가가 아직 끝나지 않은 인물의 동상을 세우는 것이 대구시 발전에 무슨 도움이 되느냐”고 말했다.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사회적 논란이 있는데 졸속으로 추진했다”며 “결국 관련 조례 폐지안이 제출됐다. 행정에서 정치적 중립을 유지하기를 바란다”고 요구했다.

bt6b81215531a515b5ee78d98e4f55d8c5.jpg

대구 동구 동대구역 광장에 설치된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 뉴스1

반면 국민의힘 소속 의원들은 이에 반발했다. 주호영 의원은 “유럽 같은 경우 과가 있더라도 공이 크면 동상을 세우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는 업적을 기리는 일에 상당히 인색하다”며 “기릴 일이 있다면 동상을 세워도 된다”고 말했다.

이달희 의원도 이날 의사진행발언을 통해 “동상 설치를 두고 절차상 문제 등을 지적한 건 좋지만, 시민 다수가 갖는 역사적 존경심을 정치적 잣대로 평가하는 건 대구 시민을 깎아내리는 것이니 사과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과정에서 여당 의원 등이 강하게 반발해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대구시는 향후 별도의 동상 건립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행정부시장)은 “추진 과정에서 아쉬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며 “대구도서관에 추가로 건립하려던 동상은 보류했다”고 답했다.

이날 국정감사에서는 대선 출마에 따른 홍준표 전 대구시장의 중도 사퇴로 매듭짓지 못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취수원 이전, 대구·경북 행정통합 등에 관한 질타도 이어졌다. 주호영 의원은 “‘TK 신공항’은 이름부터 잘못됐다. 도심 전투비행단 이전이 중심인데 딴 지역 사람들이 공항 이름을 보고 공항을 새로 만드나 보다 생각한다”며 “공항은 국가 시설로 국가가 이전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국가가 직접 하도록 잘 설득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btad15bb15f152f3bf7a0063c0873573c2.jpg

27일 오전 대구시청 산격청사에서 열린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대구시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주호영 국민의힘 의원이 감사 개시를 선언하고 있다. 뉴스1

양부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대구 취수원을 구미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기로 했던 환경부·지자체 간 기존 협정이 해지된 것과 관련해 “홍 전 시장이 협정을 해지해버리고 안동댐을 제안했다. 협정서 효력이 지자체장이 바뀐다고 해서 마음대로 임의로 해지할 수 있나”고 따졌다.

‘불통행정’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은 “홍 전 시장 임기 내내 자기와 뜻이 다른 사람을 억압하고 소송을 감행했다”며 “홍 전 시장 재임 이후 정보공개소송 및 행정심판 건수가 높아졌다. 소송에 진 뒤 비용은 본인이 전혀 부담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김 권한대행은 “(소송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사안에만 엄격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홍 전 시장은 지난 2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제가 대구에서 보낸 절차탁마의 1000일을 헛되이 보낸 세월이라고 비방하지 마시기 바란다”며 “아집에 갇힌 폐쇄도시 대구를 열린도시로 만든 열정적인 1000일이었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