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SKT, 해킹 여파로 3분기 영업이익 90.9% 급감…순익 적자 전환
-
17회 연결
본문

서울 종로구 SK텔레콤 대리점 모습. 뉴스1
SK텔레콤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484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90.9% 감소한 수치로, 대규모 해킹 사태의 여파가 실적에 직격탄을 날린 것으로 분석된다.
매출은 3조9781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2% 감소했고, 순손실은 1667억 원으로 적자로 전환했다.
SK텔레콤은 지난 4월 드러난 대규모 해킹과 개인정보 유출 사태 이후 고객 보상 조치로 인한 수익 감소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회사는 7월 위약금 면제 조치를 시행하며 가입자 이탈이 늘었고, 8월에는 통신 요금 50% 감면과 보상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이동전화 매출이 급감했다.
또한 ‘고객 감사 패키지’를 통해 통신 요금 감면, 데이터 추가 제공, 제휴사 할인 등 총 5000억 원 규모의 혜택을 8월부터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여기에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부과한 1348억 원의 과징금도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
다만, SK텔레콤은 유무선 통신 부문에서 해킹 사태가 터진 지난 2분기 대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3분기 5G 가입자는 1726만 명으로 전 분기보다 24만 명 늘었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도 순증으로 전환됐다.
AI 사업 부문에서는 매출이 전년 대비 35.7% 성장했다. AI 데이터센터 사업은 판교 데이터센터 인수와 GPU 임차 지원 사업 수주 효과로 1498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인공지능 전환(AIX) 관련 매출은 557억 원에 달했다.
SK텔레콤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착공한 데 이어 오픈AI와 서남권 전용 AI 데이터센터 구축 협약을 체결했다.
김양섭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고객 신뢰 회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AI 사업에서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겠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3분기 배당을 실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