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현상금 145억원’ 걸렸던 시리아 대통령, 트럼프와 정상회담

본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0일(현지시간)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조직 ‘알카에다’ 출신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대통령과 비공개 정상회담을 했다. 시리아 국가 정상의 백악관 공식 방문은 1946년 시리아 건국 이후 처음이다.

알샤라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 37분 백악관에 도착해 트럼프 대통령과 2시간가량 비공개 회담을 가졌다. 알샤라 대통령은 별도 환영 행사 없이 조용히 백악관에 입장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이날 언론 노출 없이 회담을 진행했다. 정상회담 사진들은 사후 백악관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개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조용한 환대’는 알샤라 대통령의 이력 때문이다. 알샤라 대통령은 9·11 테러를 저지른 알카에다의 이라크 지부에서 활동하다 미군에 체포돼 2006년부터 5년간 수감된 전력이 있다. 출소 후 알카에다와 거리를 두고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으로 조직을 재편한 이후 북서부를 장악하며 유력 군벌로 떠올랐다. 지난해에는 결국 시리아의 알아사드 집권을 축출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은 알샤라 대통령에게 현상금 1000만 달러(약 145억원)를 내걸었다가 알샤라 대통령이 시리아를 완전 장악하자 현상금을 철회했다.

반테러·반이슬람 성향이 강한 마가(MAGA) 진영은 반발했다. 인플루언서 로라 루머는 엑스(X)에 “알줄라니(알샤라 대통령의 알카에다 조직원 시절 이름) 테러리스트 지지자들이 어떻게 백악관에 들어가나? 트럼프 대통령의 보좌관 중 누가 백악관 내 시리아 국기 게양을 허용했는가?”라고 불만을 표했다.

관련기사

  • [사진] 과거엔 현상금, 오늘은 악수

트럼프 대통령이 내부 반발에도 알샤라 대통령과 손잡은 건 중동 질서 재편이라는 중장기 목표 때문이다. 친미·친서방 노선으로 전환한 시리아의 재건을 도와 이스라엘과 무슬림 국가 간 관계 정상화를 추진하는 ‘아브라함 협정’의 확장을 꾀한다는 것이다. 포린폴리시는 “이란의 대시리아 영향력을 좁히고, 장기적으로 이스라엘과 충돌 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 알카에다의 후신인 ‘이슬람국가(IS)’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선 시리아의 도움이 필요하다. 극단 이슬람 테러리스트인 IS는 2011년 시리아 내전의 혼란 속에서 세력을 급격히 확장했다. 민간인 대량 학살과 추방을 자행하고, 시리아 등에 1000만 명이 넘는 난민을 만들었다. 이들 난민이 중동 전역과 유럽에 흘러들며 치안 동요 등 도미노 효과를 촉발했다. IS는 2018년 미국·영국 등 국제 연합군의 집중 공격을 받고 시리아 등에서 지배력을 크게 잃었지만, 현재도 약 3000~5000명 규모의 조직원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은 이날 ‘시저 시리아 민간인 보호법’(시저법)에 따른 제재 부과를 180일간 유예하며 당근을 제공했다. 시저법은 시리아 정부와 거래하는 제3국 개인·기업에 대한 2차 제재를 부과하는 내용이 담겼다. 이를 일시 정지해 내전과 제재로 황폐해진 시리아 재건을 돕겠다는 의미다. 시리아 역시 ‘IS 격퇴 국제연합’에 대한 합의 선언에 서명하며 화답했다. 최근엔 시리아 전역에서 대테러 일제 단속도 벌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재진을 만나 “이제 중동에 평화가 왔다. 이스라엘이 시리아를 비롯한 (중동 국가) 모두와 잘 지내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39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