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현대 무용 거장들이 온다...압도적 춤사위 연이어 무대로
-
11회 연결
본문
현대 무용의 흐름을 주도하는 국내외 거장의 작품이 연이어 무대에 오른다.
북유럽 최정상 무용단으로 꼽히는 예테보리 오페라 댄스 컴퍼니는 오는 14∼16일 LG아트센터 서울에서 알렉산더 에크만(41)이 안무한 ‘해머’를 공연한다.

알렉산더 에크만이 안무한 '해머' 공연 장면. 사진 LG아트센터
스웨덴 출신의 에크만은 현재 세계 무용계에서 가장 핫한 안무가 중 하나다. 그는 네덜란드 댄스 시어터(NDT), 스웨덴 왕립 발레단, 파리오페라발레단 등과 협업하며 대담하고 파격적인 무대를 선보여왔다. ‘플레이’(PLAY)에서는 4만개의 녹색 공을 무대 위로 쏟아냈다. ‘백조의 호수’에서는 5000ℓ의 물로 무대에 호수를 만들기도 했다.
‘해머’는 2022년 스웨덴 예테보리에서 초연한 에크만의 대표작 중 하나다. 30여명의 무용수가 펼치는 압도적인 군무와 예측을 뛰어넘는 퍼포먼스로 알려져 있다. 에크만은 12일 LG아트센터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늘 관객을 놀라게 하고, 감명을 주며. 몰입시키는 요소를 무대에 구현하려 노력한다”라고 말했다.
이 작품은 스마트폰에 중독된 현대인을 풍자한다. 에크만은 “많은 이들이 스마트폰 중독에 시달리고 있고, 저 역시도 왜 계속 스마트폰을 들여다볼까 자문한다”며 “‘해머’는 시의성이 있는 메시지를 담은 작품이기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두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전했다. 이어 “제목 ‘해머’는 자기중심적으로 굳어진 자아를 깨뜨린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라며 “서양은 개인주의가 발달했고, 한국은 ‘우리’ 중심의 문화를 가진 나라이기에 두 문화를 비교하는 것도 흥미로운 지점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무대에는 예테보리 오페라 댄스컴퍼니 소속된 한국 출신 무용수 김다영과 정지완도 무대에 오른다. 서울 공연 이후 이달 21, 22일에는 부산문화회관 대극장에서 공연한다.

무용가 피나 바우쉬의 대표작 '카네이션' 공연 모습. 사진 LG아트센터
무용가 피나 바우쉬(1940~2009)의 대표작 ‘카네이션’은 25년 만에 다시 한국 관객을 찾았다. 지난 6~9일 LG아트센터 서울에서 공연한 데 이어 오는 14, 15일에는 세종예술의전당 무대에 오른다.
피나 바우쉬는 무용을 넘어 20세기 공연 예술의 흐름을 바꿨다고 평가받는 안무가다. 1982년 독일에서 초연한 ‘카네이션’은 제목대로 9000송이의 분홍빛 카네이션으로 뒤덮인 무대에서 무용수들이 공연을 펼친다. 아름다움과 폭력이 공존하는 인간 사회를 무대 위에 펼쳤다.
한국 무용 거장의 작품도 관객을 찾는다. 한국 현대무용의 선구자로 꼽히는 안무가 김복희(77)는 5년 만에 신작 ‘윤회적 맥베스’를 내놓는다. 김복희무용단은 오는 22, 23일 서울 대학로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이 작품을 선보인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를 모티프로 삼은 이 작품은 권력과 욕망, 죄의식으로 무너지는 인간의 내면을 ‘윤회’라는 동양적 세계관으로 해석한다.

김복희무용단 공연 장면. 사진 공연기획 MCT
김복희는 1971년 김복희무용단을 창단했다. 불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국적인 현대무용을 추구했다. 1986년 ‘한국현대춤협회’를 창단해 '한국현대춤작가 12인전' 창설을 주도하며 창작무용가의 활동 기반을 다졌다.
이번 공연에는 김복희의 대표작인 ‘우담바라’도 무대에 오른다. 지난 2020년 창작된 김복희무용단 창단 50주년 기념작이다. 남지심의 동명 소설이 바탕이 된 작품이다.
아울러 국립무용단은 ‘거장의 숨결’ 공연을 통해 다음 달 12월 17~18일과 20~21일에 선보인다. 한국 무용계 거장 조흥동(84), 배정혜(81), 김현자(78), 국수호(77)의 대표작을 만날 수 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