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AI가 복제한 77세 정치학자, 말투까지 따라했다

본문

1718551207171.jpg

하영선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하영선 교수입니다. 여러분께 국제정치 관련 깊이 있는 지식을 제공하길 기대합니다.”

지난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아시아연구원. 대형 스크린에 띄워진 인공지능(AI) 챗봇은 자신을 하영선(77·외교학 전공)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명예교수라고 소개했다. 하 교수의 희수연(喜壽宴)을 맞아 그의 제자들은 생성형 AI 모델 ‘GPT-4o’(포오) 기반으로 제작한 AI를 선물로 준비했다. 동아시아 국제정세 분야 석학인 하 교수가 펴낸 단행본 13권, 140여 편의 논문, 기고문 등을 전부 학습한 ‘하영선 AI’다.

참석자들이 ‘북핵에 대한 입장이 뭔가’라는 질문에 하영선 AI는 “생존권, 발전권, 통합억제 시스템 등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한 뒤 답변하겠다”며 하나씩 설명한 뒤 “북한의 핵 보유 비용을 극대화해 자발적으로 포기하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하 교수의 평소 지론과 일치하는 답변이었다. 추론을 요구하는 질문에도 막힘이 없었다. ‘하 교수 학문에서 중요한 개념이 뭔가’라고 묻자, “국제 정치의 다차원성을 설명하는 ‘복합세계정치’와 ‘늑대거미 모델’이 핵심”이라고 답했다. 하 교수의 저작물을 2000년 이전과 이후로 나누고 AI에 각각 따로 학습시켜 젊은 하 교수와 노년의 하 교수가 AI로 대리 토론하는 것도 가능했다. 나이가 들며 조금씩 바뀌었던 가치관의 차이를 AI가 잡아냈다는 의미다. 하 교수의 목소리가 담긴 동영상을 학습한 AI도 있었다. 음색이나 “음…” 하면서 뒤를 내리는 말 습관까지 현실의 하 교수와 유사했다.

이날 자신의 AI를 본 하 교수는 “북한 문제는 90% (내 견해와) 비슷한 것 같고, 미·중 관계는 60~70% 정도다. 어떻게 묻는지에 따라 답변 수준이 다르니 질문하는 실력이 중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AI를 학습시킨 하 교수의 서울대 외교학부 제자 공훈의 고도화사회이니셔티브 대표도 “같은 내용이라도 입력 순서, 자료의 구조화 여부에 따라 AI 성능 격차가 크다”며 “특정인의 저작물에만 기반해 답을 하고 다른 자료는 섞이지 않도록 하는 게 쉽지 않았다”고 했다. 하영선 AI 아이디어는 배영자 건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냈다. 하 교수가 “(원로교수들이 받는) 초상화 같은 아날로그 선물은 준비하지 말라”고 했고 미래 지향적인 뭔가를 해보자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배 교수는 “AI가 지식인과 대중 사이에 접점이 될 수 있겠다는 확신이 들었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2,822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