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상한 금리…반년적금이 1년적금보다 높다
-
1회 연결
본문
은행·저축은행 금리역전 왜
은행·저축은행의 예금 상품에서 금리 역전이 나타나고 있다. 돈을 맡기는 기간이 길수록 높은 금리를 적용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최근 들어 수신 금리는 시장 통념과 반대로 움직였다. 금리 인하가 예고되면서 은행권에선 장기예금의 금리 혜택을 줄였고, 소비자도 유동성을 중시해 단기 예금이나 수시입출금 상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해지면서다.
4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권의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만기에 따라 12개월 연 3.59%, 24개월 연 3.07%로 집계됐다. 6개월 만기 예금 금리가 12개월 이상보다 높은 경우도 상당수다. 예컨대 예금금리가 가장 높은 OBS저축은행의 ‘인터넷정기예금’의 6개월 만기 상품 금리는 연 4.1%인데 12개월일 땐 연 3.5%이다. HB저축은행의 ‘스마트정기예금’ 금리는 6개월 연 4%, 12개월 연 3.5%, 24개월 연 3%다. 이처럼 6개월 예금금리가 12개월보다 높은 저축은행 예금 상품만 23개에 달한다.
저축은행뿐 아니라 은행에서도 장·단기 금리 역전이 나타났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중 기본금리가 가장 높은 건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과 Sh수협은행의 ‘헤이(Hey)정기예금’으로 각각 연 3.42%로 공시했다. NH올원e예금의 경우 6개월 만기일 때 금리가 12개월보다 높은 연 3.45%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미국이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에 나서면서 통화정책은 긴축 완화 국면으로 진입했다. 한국은행까지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하면서 향후 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회사 입장에선 금리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약속한 기간 높은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장기 고금리 상품은 단기 예금보다 부담이 크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장기 예금 상품의 경우 기준금리 인하가 본격화한 이후엔 역마진이 벌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예금 만기시점을 분산하기 위해 1년 미만의 단기 예금을 늘리는 경향도 있다. 2022년 10월 레고랜드 사태 이후 저축은행은 유동성 확보 차원에서 예금금리를 대폭 올렸다. 예금 만기 시점이 연말로 쏠려 자금이 한 번에 빠져나가는 것을 막기 위해 12개월 미만 예금의 금리를 높인 것이다.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파킹통장이 예·적금 금리를 뛰어넘는 상황도 나타났다. SC제일은행과 전북은행은 각각 최고금리 연 4%, 연 3.51%의 파킹통장을 운영한다. 저축은행은 우대금리에 따라 최고 연 이자 8%(OK저축은행)를 지급하는 파킹통장까지 출시했다. 고금리 적용 한도가 제한되는 등 요건이 까다롭긴 하지만, 하루 단위로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면서도 기간이 정해진 예금보다 금리가 높다.
미국에선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 인하를 시작했지만, 시장금리는 반대로 다시 치솟고 있다. 재정 확대와 관세 인상을 내건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선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커지면서, 미국 국채금리가 이를 반영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1일(현지시간)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전 거래일보다 0.14%포인트 오른 4.38%로 거래를 마쳤다. 고금리 장기화 우려에 시장금리가 높게 유지됐던 지난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장기 시장금리의 벤치마크인 미국 국채 10년물 금리는 Fed의 기준금리와 장기 경제 성장 전망에 따라 움직인다. 기준금리를 내리거나, 성장 전망이 좋지 못하면 금리도 따라서 하락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