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물가상승률 두달 연속 1%대…연내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감
-
2회 연결
본문
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기록했다. 여전히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인 채소류 물가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둔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연말까지 2%대의 안정적인 물가 흐름을 보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69(2020년=100)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 상승했다. 2021년 1월(0.9%) 이후 3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올해 4월(2.9%) 3% 아래로 내려온 뒤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1.6%)부터 1%대로 내려왔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은 “석유류 가격이 큰 폭으로 하락하고, 농·축·수산물 가격도 1%대로 둔화하면서 하향 안정세가 공고해지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근원·생활물가 1%대… 채소류는 두 자릿수 상승률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도 안정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는 1.8% 올랐다.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했다. 한국 방식의 근원물가 지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1.7% 상승했다. 구입 빈도가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해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는 1.2%를 기록했다. 2021년 1월(0.8%) 이후 4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물가 둔화의 1등 공신은 석유류 가격 하락이다. 기재부에 따르면 지난달 국제유가(두바이유 기준)는 1배럴당 74.9달러 선으로 1년 전(89.8달러) 대비 16.6%가량 낮다. 국제유가 안정에 따라 석유류 가격이 15개월 만에 최대 하락 폭(-10.9%)을 기록하면서 전체 물가를 0.46%포인트 끌어내렸다.
반면 채소류는 1년 전보다 15.6% 오르면서 2022년 10월(22.1%)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장 재료인 배추(51.5%)·무(52.1%) 등 채소는 50% 넘게 뛰었고 상추도 49.3% 올랐다. 10월까지 폭염이 이어지면서 작황 부진으로 채소류 생육이 저조했다는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 출하 지역이 경북·충북 등으로 확대되면서 가격이 하향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오는 28일 금통위 '촉각'
정부는 특별한 외부 충격이 없다면 안정적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고 있다. 김웅 한국은행(한은) 부총재보는 이날 ‘물가 상황 점검 회의’에서 “지난해 말 유가 하락에 따른 기저효과, 유류세 인하율 축소조치 등으로 물가 상승률이 다소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소비자물가는 연말로 갈수록 2%에 근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있을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서 추가 금리 인하가 결정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지난달 금통위는 38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연 3.5%에서 3.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한은은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 부채 증가 등을 우려해 추가 인하에는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물가가 2%보다 낮은 상황이라 긴축적 통화 정책이 필요하지 않다. 올해를 포함해 두세 차례 정도 점진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최근 한은의 '한국의 중립금리 추정-BOK 경제연구' 보고서에는 한국의 명목 중립금리가 1.8~3.3%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가 실리기도 했다. 중립금리란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참고로 하는 준거 금리로,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을 유발하지 않고 잠재성장률을 유지할 수 있는 이론적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즉, 중립금리 중간값(2.55%)이 현재 기준금리(3.25%)보다 낮다는 점에서 추가 인하 여력이 있다는 풀이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