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뉴스] 자영업자 대출 1,000조 돌파 … 코로나 후 4년 새 51% 불었다

본문

연체자 보유 위험 대출 31조 … 2배로 뛰어
자영업 대출자 51%, 3곳 이상서 빌린 다중채무자

◇사진=강원일보DB

고금리와 소비 부진 등의 영향으로 빚으로 버텨온 자영업자들의 금융기관 대출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4년여간 50% 이상 늘었다. 더욱이 이미 연체로 상환에 한계를 드러낸 자영업자의 전체 대출 규모가 두 배로 커지는 등 부실 위험 징후도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1년 만에 자영업 연체자 보유 대출 53% 늘어=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양경숙 의원이 신용평가기관 나이스(NICE)평가정보로부터 받은 '개인사업자 가계·사업자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335만9,590명의 개인사업자(자영업자)는 모두 1,112조7,400억원의 금융기관 대출(가계대출+사업자대출)을 가지고 있었다.

코로나19 유행 직전 2019년 말(209만7,221명·738조600억원)과 비교해 4년3개월 사이 대출자와 대출금액이 각각 60%, 51% 늘었다.

특히 연체(3개월 이상 연체 기준)가 발생한 상환 위험 차주(대출자)의 전체 보유 대출 규모는 같은 기간 15조6,200억원에서 약 2배인 31조3,000억원으로 뛰었다. 자영업자 대출액 가운데 2.8%가 위태로운 상태라는 뜻이다.

최근 연체 차주의 대출 증가 속도는 더 빨라져 작년 3월 말(20조4,000억원)과 비교해 불과 1년 사이 53.4% 급증했다.

나이스평가정보는 국내 수위의 신용평가기관이다. 주요 시중은행을 비롯한 대다수의 금융기관이 대출자의 동의 아래 이 업체에 대출자의 금융정보를 제공하거나 반대로 기업·개인의 대출·연체 이력 등을 받아 신용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나이스평가정보의 통계에 실제 대출 현황이 대부분 반영된다는 게 금융권의 설명이다.

■4년간 자영업 다중채무자 62% 증가 … 한은 "부실 확대" 경고=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나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상황은 더 좋지 않았다.

3월 말 현재 전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는 172만7,351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335만9,590명) 가운데 절반 이상(51.4%)이다. 이들의 대출잔액(689조7,200억원)과 연체 개인사업 다중채무자 대출잔액(24조7,500억원)의 비중도 전체 개인사업자 대출잔액과 연체 개인사업자 대출잔액의 각 62%, 79%에 이르렀다.

2019년 말(106만6,841명·431조3,100억원)과 비교해 개인사업 다중채무자 인원과 대출 규모는 각 62%, 60% 뛰었고 연체 다중채무 개인사업자의 대출잔액은 12조1,200억원에서 두 배가 넘는 24조7,500억원으로 늘었다.

1년 전(172만3,562명·682조8,600억원·16조2,300억원)보다는 각 0.22%, 1.00%, 52.5% 증가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높은 대출금리 부담이 지속되는 가운데 자영업자의 소득 여건 개선이 지연되고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부진한 모습을 보일 경우 취약 차주를 중심으로 부실 규모가 확대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1,884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