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뉴스] 첫 반도체 공장 춘천 신설 흐지부지되나…부지 못 찾아 ‘올스톱’
본문
25년까지 180억 투자 반도체 공장 설립 계획
산단 용지 소유 기업 매각 철회에 제자리걸음
산단 업종코드 보완, 폐수처리시설 설치 시간 끌려
플랜B도 빈약, 대체 부지 제안에도 이전 기업 난색
신규 거두일반산단 30년에나 준공, 해결 난항
【춘천】 속보=반도체 기업의 춘천 이전으로 주목 받았던 18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 건(본보 지난해 7월18일자 2면 보도)이 산업단지 용지 확보가 꼬여버리면서 흐지부지 될 위기에 놓였다.
춘천시와 강원특별자치도는 지난해 7월 경기도 소재 A기업과 2025년까지 반도체 관련 부품 제조 공장을 남춘천산업단지에 신설하는 투자 협약을 맺었다. 당시 시는 180억원의 투자가 이뤄지면서 54명의 신규 고용이 창출되고, 향후 1,000억원의 후속 투자가 기대된다는 내용을 발표했다.
하지만 해를 넘긴 지금까지도 A기업은 공장 신설을 위한 부지를 확보 조차 하지 못했다. 시의 중재로 당초 A기업에게 부지를 팔기로 했던 B기업이 매각 의사를 철회하면서 마땅한 대체 부지를 찾지 못했기 때문이다. B기업 관계자는 “투자 협약 직후 부지를 빠른 시일 내 매각하길 희망했으나 시기가 늦어졌다”면서 “회사 운영에 따라 사업 계획을 수정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실제 남춘천산단은 투자 협약 당시에도 반도체 관련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업종 코드를 갖추지 못해 추가적인 행정 보완이 필요한 상태였다. 또 반도체 공장 내 자체 폐수처리시설을 설치해야 해 환경 평가 등을 위한 시간 지연이 불가피했다.
부지 매각을 결정하는 것은 소유 기업의 권한이 분명하다. 하지만 중재를 맡은 시가 이 같은 지연 상황을 사전에 명확히 소통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나온다.
또 부지 매각 불발에 대비한 플랜B가 빈약했던 점도 문제다. 시는 A기업에 타 산단 용지를 새롭게 제시했으나 남춘천산단에 비해 수도권 접근성이 떨어지고 용지 면적도 최초 제시한 땅의 절반 크기에 그쳐 A기업이 난색을 표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산단이 포화에 이르러 또 다른 대체 부지 발굴도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거두일반산단은 2030년에나 조성이 완료된다.
시 관계자는 “이전 희망 기업이 후속 투자를 고려해 여러 환경을 조건으로 보고 있어 대안 찾기가 쉽지 않다”며 “적합한 매각 용지가 나오는 대로 빠르게 의사를 타진해 가겠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