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뉴스] 춘천시 캠프페이지 개발 시민·정부·道 전방위 설득…“첨단 산업 위주 개발”

본문

국토부 20일 혁신지구 설명회로 전국 경쟁 본격화
재도전 나선 춘천시, 정부 건의·시민 공청회
개발 구상 우려 표한 道에 의견 묻고 협의 지속
미군 반환기지 18곳 개발, 춘천시 “개발 가능”

◇최근 강원특별자치도가 캠프페이지 도시재생혁신지구 개발 구상안에 우려를 나타내자 소양동 주민 단체가 이를 규탄하기 위해 내건 현수막이 9일 도청 앞 거리에 걸려있다.

【춘천】 캠프페이지 개발을 위한 도시재생혁신지구 공모 신청을 앞둔 춘천시가 시민들과 정부, 강원특별자치도에 사업 필요성을 알리며 전방위 유치 노력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5월 도시재생혁신지구 공모 접수를 예고, 오는 20일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전 설명회를 가진다. 이날 설명회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 가이드 라인과 함께 지자체 경쟁 구도의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육동한 시장은 10~12일 정부 부처를 찾아 현안 해결에 주력한다. 국토부 방문 일정에서는 민간 임대 아파트 보증 피해 최소화 조치를 건의하고 도시재생혁신지구 지정 당위성을 전한다.

이와 함께 시는 오는 24일 시민 공청회를 열어 캠프페이지 활용을 위한 시민들의 목소리를 듣는다. 이미 이달 초부터 캠프페이지 주변 지역인 근화동, 소양동 주민 단체 등을 대상으로 순회 설명회가 시작됐다. 의회 사전 간담회와 함께 이달 말 열리는 임시회에서는 공식적인 의견 청취도 이뤄진다.

또 시는 최근 개발 구상안에 공개적으로 우려를 표한 강원특별자치도에 기관 의견 수렴 요청 공문을 보내 추가 협의에 나설 방침이다. 도와 대립이 장기적으로 이어질 경우 지난해 지역 여론이 분열됐던 양상이 되풀이될 수 있다. 도의 입장 발표 이후 근화동, 소양동 주민들은 이미 규탄 현수막을 내건 상태다.

도가 우려를 나타낸 공원 해제와 관련해 시는 타 광역 및 기초 지자체 선행 사례를 들어 “가능하다”는 입장을 지키고 있다. 주한 미군 부대가 다수 위치한 경기도에서는 반환이 끝난 18개 기지에서 발전종합계획이 수립됐고 도시개발, 업무시설, 행정타운, 첨단산업시설로의 변모가 이뤄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와 의회, 시민 의견을 듣고 보완 요소를 충분히 협의하겠다”며 “첨단 산업 위주로 개발 구조를 개편했고 필요 재원을 크게 축소하며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노력해왔다”고 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657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