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뉴스] [속보]전공의·의대생에 "정의롭지 않고 오만" 쓴소리 한 서울의대 교수 …
본문
"동료 자유 억압·강제 희생 안 돼…정부·의료계가 의료시스템 붕괴시켜"
"더는 침묵하고 싶지 않았고, 의료계에도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다"

속보=의대 정원 증원과 의료 개혁을 둘러싼 의정(醫政) 갈등이 2년째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 의대·서울대병원의 하은진·오주환·한세원·강희경 교수는 현장을 지키는 동료를 조롱하고 복귀를 방해하는 의대생·전공의들을 향해 "정의롭지 않고 사회를 설득할 수도 없어 보인다. 오만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이들은 "더는 침묵하고 싶지 않았고, 의료계에도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이 있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면서 "이걸 통해서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자신들이 하는 행위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것으로 인해 실제 피해 보고 있는 사람들을 한 번쯤은 바라봐 주길 바랐다"고 말했다.
하은진 중환자의학과 교수는 18일 "반대 목소리도 낼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며 "복귀를 강요하는 게 아니라 한쪽의 생각만 옳다고 얘기하면 안 된다는 걸 말하고 싶었다"고 성명을 발표한 배경을 설명했다.
이들은 전날 '복귀하는 동료는 더 이상 동료가 아니라고 주장하는 분들께'라는 성명을 냈다.
교수들은 성명에서 "피해자는 사직과 휴학을 스스로 선택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아닌, 이들이 1년간 외면한 환자와 그 가족들"이라고도 했다.
최근 건국대 의대생 일부가 "수업 복귀자는 동료로 간주하지 않겠다"는 입장문을 내는 등 복귀 저지 움직임이 노골화한 것과 무관치 않다.
하 교수는 예상된 비난을 감수하고도 성명을 발표한 것은 개인의 자유의사를 존중하지 않는 분위기가 옳지 않다는 확신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적잖은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충분히 숙고하지 못한 채 사이버불링(온라인 집단괴롭힘)이나 왕따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내몰린다"며 "하고 싶으면 하는 것이고 안 하고 싶으면 안 할 수 있어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또 "정부가 미운 것도, 잘못한 것도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우리가 잘못된 행동을 계속해도 되느냐"며 "우리 의료 시스템을 정부와 의료계라는 두 축이 붕괴시키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가 망가지면 우리 모두 망가지는 것"이라고 했다.

오주환 국제보건학·보건정책학 교수 역시 전공의와 의대생 개인의 자유의사를 억압해선 안 된다며, 의료계도 다양한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교수는 "일단 모두의 자유가 지켜져야 한다고 생각한 게 성명을 발표한 결정적 이유"라며 "(강경한) 의대생·전공의들이 (복귀를 원하는) 동료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경우가 있지 않으냐. 강제로 희생을 만드는 그런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돌아왔거나 이제 돌아오고 싶은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지켜줘야 할 후배 의사이자 제자인 만큼 이들이 내몰리는 상황을 방관할 수 없다는 의미다.
특히 의대생이 감수해야 할 희생이 전공의보다 압도적으로 클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들의 삶을 누가 책임질 수 있겠느냐고 했다. 최근 각 의대는 의대생들이 시한 내 복귀하지 않으면 제적 또는 유급 등 학칙에 따라 조처하겠다고 예고했다.
오 교수는 "자유의사로 휴학했다고 했으니 자유의사로 복귀한다면 그것을 막는 일은 없어야 하고, 그런 것을 용인해서도 안 된다"며 "복귀든 아니든 각자의 자유에 따라 선택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 자유를 방해하는 것에 대해서는 더는 동의할 수도, 침묵할 수도 없었다"고 언급했다.
강희경 교수도 해야 할 일을 했다면서, 성명과 관련한 추가 입장 표명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전날 서울의대 교수 4명은 일부 의대생들의 복귀 움직임을 두고 동료 의대생과 전공의들 사이에서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자 성명을 통해 지난 1년간 대안 없는 반대만을 한 게 아니냐며 강도 높게 비판하면서 이제는 선택할 때라고 역설했다.
성명 발표 후 의료계 내부에선 이를 비판하는 발언도 잇따랐다.
사직 전공의인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 겸 의협 부회장은 페이스북에 이 성명을 공유한 후 "교수라 불릴 자격도 없는 몇몇 분"이라고 했고, 의료단체 미래의료포럼도 "전공의들이 수련을 포기하고 병원을 떠나서 있을 때 이들 교수는 어디서 무엇을 했는가"라며 성명 철회를 요구했다.


반면 한국암환자권익협의회 등 8개 중증질환 단체로 구성된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서울의대 교수들의 입장에 대한 환영 의견'이라는 제목의 입장문을 냈다.
연합회는 "제자를 위해 참스승의 면모를 보였다는 점에서 환영하고 응원한다"며 "환자를 버린 행위까지 감싸주는 의사들의 카르텔 문제를 수면 위로 올려 비판한 것이고, 이에 희망을 봤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의대 교수들이 내부에서 공격받지 않기를 바란다"며 "특례는 이익을 위해 자리를 떠난 이들이 아니라 현장에서 환자를 지키며 수모를 겪고 있는 전공의 등 참의사들에게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입장문과 함께 전국의 중증질환자와 보호자들이 현장을 지키는 의사들에게 보낸 편지도 공개했다.
한 췌장암 환우는 "아픈 환자 곁에 남겠다는 어려운 결정을 해주신 여러분 덕에 하루하루 버텨 나갈 수 있다"며 "환자와 가족의 시간을 잡아주셔서 감사하다"고 했다.
현장에 남은 의료진 덕에 수술·항암·방사선 치료를 끝내고 일상을 회복했다는 환자는 "힘내시길 기도한다. 존경한다"고 했고, 암환자 보호자는 "인의를 몸소 실천하시는 분들 덕에 안심하고 지내고 있다. 축복이 함께하길 바란다"고 적었다.
제주의 한 암환우는 "환자들에게 의사들은 희망이자 제2의 부모님이고, 병원은 몸과 마음을 맡길 수 있는 든든한 곳"이라며 "진정으로 걱정, 진료해주셔서 감사하다"고 전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