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뉴스] 산불피해 강릉 옥계면 “6년이나 지났지만’ 복구는 여전히 먼 얘기”
본문
곳곳에 푸른 빛 되찾았지만 완전한 복구까지 최소 20년 소요
복구까지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산불 예방 중요성 강조돼
소나무 위주의 산림정책 변화와 산불 확산 막기 위한 훈련 필요

“방법이 없으니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말아야죠.”
29일 찾은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의 한 산지. 김연종 남양1리 이장은 울창했던 산을 그리워하면서도 방법이 없는 것을 어쩌겠냐며 담담하게 말했다.
옥계면은 2019년 4월 발생한 산불로 말그대로 폐허가 됐었다. 나무들로 빽빽했던 산지는 시커멓게 타버렸고, 마을의 수입원 중 하나였던 송이밭도 사라졌다.
우두커니 현장을 바라보던 김연종 이장은 “이제는 나무도 다 심어졌고, 불에 탔던 집도 다 지어져서 안정된 상태로 보이지만 산불에 대한 트라우마는 여전하다”고 했다. 6년이 지나 곳곳이 푸른 빛을 되찾았지만 여전히 과거의 모습이 복원되진 못했다.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인공조림된 소나무들은 바짝 말랐고 일부는 키가 성인 무릎 높이까지도 자라지 못했다. 자연복원된 산지에서는 참나무들이 3~4m까지 자란 상태였지만 여전히 어린 나무에 불과했다.
옥계면 산불 복구 현장은 복구까지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복구까지 최소 20년은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산불 예방의 중요성이 새삼 강조되고 있다.
산림화재 전문가인 이상호 강릉소방서 예방안전과장은 “산불 실화는 매우 심각한 범죄라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며 “산불위험기간에 쓰레기를 소각하는 행위 등을 엄격하게 제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산불 발생을 ‘0’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기에 산불이 발생해도 대형산불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화재에 취약한 침엽수를 심는 정책을 고집해서는 안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규송 강릉원주대 생물학과 교수는 “산림청이 추구하는 산림의 ‘임업 생산 공급가치’는 연간 8조원이지만 공기 정화, 산불 방지 등 숲이 가진 공익적 가치는 259조원에 달한다”며 “소나무 일색의 숲을 만든 산림청의 정책 때문에 공익적 가치가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제도 변화의 필요성도 강조한 이상호 과장은 “대형산불의 원인인 남서풍의 영향을 받는 것은 1년 중 열흘 정도”라며 “이 기간 산불 감시원을 집중 배치하고 대비한 훈련도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