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으면 만드시는 그분들의 공기 청정기 자작

본문



 



안녕하세요.

이번엔 공기청정기를 만들어 봤습니다.

200배드를 최대한 활용하여 설계를 했습니다.

 



가장 먼저 뽑은 하판입니다,

전원 스위치와 미세먼지 센서, 각종 전자 부품을 붙여놓을 예정입니다.

 



과연 잘 나올까 걱정이 많았던 전면 커버입니다.

출력시간은 12시간 정도이구요, 두께를 2.5mm로 해서 그런지 묵직하고 튼튼하게 잘 나와줬습니다.

특히 수많은 구멍이 깔끔하게 나와줘서 고맙네요.

 



24시간 소요된 메인 몸통입니다.

특별히 문제없이 잘 나와줬습니다.

 



상판입니다.

우려했던 문제가 현실이 되었습니다.

중앙의 원형 부품은 듬성듬성 구조물로 띄우듯이 붙어 있어야하는데

배드에 딱 붙어서 떼다가 떨어져 나갔네요.

3D 펜으로 눈에 안띄게 다시 붙였습니다.

 



 

필요한 부품을 준비하고 슬슬 배선에 들어갑니다. 

 



회로도입니다.

회사에서 시간 남을 때 야금야금 그렸어요.

 



LED와 스위치 등을 배선하고 선을 말끔히 정리할 수 있는 구멍을 미리 설계해 쏙 집어 넣습니다. 

 



7천원짜리 환풍기 팬을 달아줍니다.

바람 방향을 처음에 착각하여 반대로 설계했다가 급하게 뒤집고 테두리를 잘라냈습니다.

 



아래쪽도 배선을 시작합니다. 

 



메인 바디와 하판 결합.

결합부 틈이 있으면 필터링이 제대로 안되기에 3D팬으로 구석구석 매꿔줍니다.

 



상판까지 결합해 배선을 완료합니다. 

 



까다로운 프로그래밍입니다...

여러번의 시행착오를 겪었고 지금도 겪고있네요..

 



자동차용 필터 3천원짜리를 장착하면 준비는 완료입니다. 

 



공기가 가장 좋을 때는 LED가 4개 모두 들어오고 가장 안좋을 땐 1개만 들어옵니다.

공기질이 "가장 좋음"과 "좋음" 중간쯤 되면 팬이 자동으로 돌아가게 했습니다.

 



크기가 작아 거실에서는 못쓰고 안방에서 씁니다.

근처에서 옷을 털때 팬이 후우웅 하고 돌아가는데 참 신기하기도 하고 좋네요. ㅋㅋㅋ

 



공기 청정기는 항상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만 필터 유지비가 발목을 잡아 매번 구매를 주저했는데

이 처럼 저렴한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으니 나름 경제적인거 같네요.

다음은 이보다 큰 청정기를 나무로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https://youtu.be/_e6aTk2h620 

78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41,198 건 - 1033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0
댓글+2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10
댓글+3
댓글0
댓글0
댓글+5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