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국방부에 경기북부 미군 반환기지 처리 문제를 전향적으로 검토해 보고하라고 지시한 것과 관련, 이들 지역에 대한 개발이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 수십 년간 반환기지 개발의 발목을 잡아온 비용, 행정 절차 등의 문제를 중앙 정부가 앞장 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달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각 부처 장관 후보자를 지명하면서 윤석열 정부 인사 가운데 유일하게 송 장관을 유임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사과값이 오르니까 옆에 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운데)가 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임현동 기자/20250702 내란 특검·김건희 특검·순직 해병 특검 등 ‘3대 특검’이 동시에 돌아가기 시작한 2일,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윤석열 전 대…
심우정 검찰총장이 2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에서 퇴임식을 마친 뒤 청사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심우정 검찰총장이 2일 퇴임사에서 “검찰의 잘못된 부분을 고치는 것을 넘어서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한 필수적이고 정상적인 역할까지 폐지하는 것은 국민과 국가를 위해서…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2일 당 혁신위원장에 안철수 의원을 임명한다고 밝혔다. 송 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비대위원장 취임 후 첫 기자회견을 열고 "당의 근본적인 변화를 추진할 혁신안을 마련하겠다"며 "그 첫 단계로 안 의원을 혁신위원장으…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 뉴스1 [속보]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에 안철수…송언석 "당 개혁 최적임자"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일 북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개장 소식을 알리며 “관광객들은 백사장을 따라 즐비하게 늘어선 관광도시의 웅장함과 화려함에 경탄을 금치 못했다”고 전했다. 노동신문=뉴스1 북한판 복합리조트인 강원도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가 전날 개장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이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최근 주식 시장, 금융 시장이 정상화하면서 (부동산의) 대체 투자 수단으로 조금씩 자리 잡아 가는 것 같다”며 “이 흐름을 잘 유지해야 한…
중국이 오는 9월 3일 베이징 천안문 광장에서 열리는 이른바 전승절(戰勝節) 행사에 이재명 대통령을 초청하기 위해 외교 채널로 참석 의사를 타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중국 전승절에 한국 대통령으로선 유일하게 참석한 박근혜 전 대통령의 사례와 취임 초기의 대…
더불어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 유상범 원내운영수석부대표(왼쪽부터)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추경안 관련 비공개 회동에 앞서 인사하고 있다. [뉴시스] 더불어민주당이 3일 국회 본회의에서 상법 개정안 처리를 예고한 가운데 기업의 우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본인 소유의 부동산·예금·주식 등 182억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아직 행사하지 않은 네이버 스톡옵션(임직원이 일정 기간 내 미리 정한 가격으로 매입한 자사 주식)을 포함하면 총 재산이 441억원에 이른다. 1일 국회에 제출된 인…
이재명 대통령은 1일 국무회의에서 “임명 권력인 국무위원들은 선출 권력인 국회를 존중해야 한다”며 ‘국민주권’을 강조했다. [사진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은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께서 국회에 가시면 그 직접 선…
송언석 당대표 권한대행 등 국민의힘 의원들이 1일 대통령실 앞에서 현장 의원총회를 열고 김민석 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를 촉구하고 있다. 전민규 기자 국민의힘 의원들이 1일 대통령실을 찾아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국민의힘 의원 …
1일 서울 여의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회의실에서 최민희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영방송 복원 위한 방송3법 개정, 더이상 미룰 수 없다'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뉴스1 속도전이냐 숨고르기냐.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해 온 ‘방송 3법’(방송법·방송문화진…
윤석열 정부가 미래 반도체 산업 관련 인력 수급을 잘못 예측해 방치할 경우 2031년엔 최대 8만1000명의 인력이 부족할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022년 관련 대책을 마련하면서 향후 10년 간(2022~2031년) 인력 수요는 적게 예측하고, 공급 효과는 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