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생활] 사실 유튜브를통해서 다양한 콘텐츠를 보고 있지만 본질은.

본문

1.본질은 우리가 남들이 먹고 남들이 어떤 얘기와 생각,만남을 갖고 사느냐를 보는게 주 아닌가요?
67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1

하니니님의 댓글

회원사진

1. 작성자님의 견해에 어느정도 동감합니다.

다른 말로 하자면 유튜브를 통해 정보(실제적으로 필요한 정보든, 시간을 보내기 위해 소비하는 정보든)를

얻는 것이 목적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런데 유튜브는 정보를 얻는 데 있어서 나의 태도가 굉장히 수동적인 태도가 됩니다.

무슨 말이냐 하면 썸네일 혹은 제목에 이끌려 클릭한 동영상이 나에게 주는대로 시간을 사용하고

정보를 얻게 되는 거죠.

반대로 인터넷 서칭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은 보다 능동적으로 정보를 얻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내 시간을 활용해서 정보를 서칭하고 종합하고 분석하는 것이므로 유튜브와 차이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2. 도서 시장은 여전히 건재합니다. 물론 실물로 출판된 도서의 비중이, E-Book과 PDF책 등으로 인해 줄어들긴

했지만 도서 시장은 여전합니다. 물론 앞에서 말한것처럼 형태가 바뀌고 있죠, 특히 E-Book시장은 계속해서

확장되고 있고, 작년부터 PDF책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어요. PDF책은 기존에 출판되는 서적에 비해

내용이 짧지만, 독자들의 실제적인 필요를 충족해주는 내용들이 담겨있죠.

니즈는 변했는데, 시장이 그 니즈를 충족시켜주는 형태로 변형된 것이지 도서 시장이 없어지진 않을 겁니다.

3. 첫번째 항목에서 이야기했듯이 유튜브는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다 보니 아무래도 생각하는 힘이

약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영상을 통해 시각적, 청각적 자극으로 인해 실제로 사고하는 능력에

큰 도움은 안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물론 중간중간 멈추고 고민하고 필기하면서 볼만한 컨텐츠가 있고

실제로 그렇게 한다면 어느정도 보완될 수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사실 책도 별 생각없이 읽는 책들도 많죠..

전체 272 건 - 13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2
댓글+2
댓글+5
댓글+1
댓글+1
댓글+3
댓글+1
댓글+5
댓글+4
댓글+4
댓글+2
댓글+1
댓글+2
댓글+5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