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층론은 마르크스가 주장한 것으로 사회를 착취 계층과 피착취계층으로나누어 보는 시각입니다. 중요한 구분 기준으로는 자본 / 토지 등 생산 수단 소유의 여부가 있었습니다. 즉 노동자와 자본가로 나누어 본 것이죠. 이들은 지배 / 피지배 관계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계급론은 베버가 주장한 것으로 사회를 단순히 경제적 요소로만 나누어 볼 수 없고 정신, 신앙, 가치관 등 관념적 요소들이 필요하다는 시각입니다. 따라서 경제적 차원(계급 : class) 뿐만아니라 신분, 파당(party : 정치의 당과 같은 단어) 로 사회를 나누었습니다. 이때 계급은 하류층, 중류층, 상류층 세가지로 나누어 졌지만 각 계층간에 지배/ 피지배 관계로 보지는 않았습니다.
댓글목록 1
현명한투자자님의 댓글
계층론은 마르크스가 주장한 것으로 사회를 착취 계층과 피착취계층으로나누어 보는 시각입니다. 중요한 구분 기준으로는 자본 / 토지 등 생산 수단 소유의 여부가 있었습니다. 즉 노동자와 자본가로 나누어 본 것이죠. 이들은 지배 / 피지배 관계에 있다고 보았습니다.
계급론은 베버가 주장한 것으로 사회를 단순히 경제적 요소로만 나누어 볼 수 없고 정신, 신앙, 가치관 등 관념적 요소들이 필요하다는 시각입니다. 따라서 경제적 차원(계급 : class) 뿐만아니라 신분, 파당(party : 정치의 당과 같은 단어) 로 사회를 나누었습니다. 이때 계급은 하류층, 중류층, 상류층 세가지로 나누어 졌지만 각 계층간에 지배/ 피지배 관계로 보지는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