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여행] 물놀이 안전 수칙 10가지 알려주세요

본문

방학 숙제인데... 잘 생각이 안나요ㅠㅠ
10가지만 부탁드립니다..!
46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1

순영신영맘님의 댓글

회원사진

수영을 하기 전에는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물에 들어갈 때는 심장에서 먼 부분(다리→팔→얼굴→가슴)부터 들어간다.

소름이 돋고 피부가 당겨질 때는 몸을 따뜻하게 휴식한다.

물이 갑자기 깊어지는 곳은 특히 위험하다.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 때, 배가 고플 때, 식사후에는 수영을 하면 안된다.

수영능력 과신은 금물이며, 무모한 행동도 하면 안된다.

장시간 수영, 호수나 강가에서 혼자 수영을 하면 안된다.

물에 빠진 사람을 발견하면 주위에 소리쳐 알리고 즉시 119에 신고한다.

구조 경험 없는 사람은 무모한 구조를 하면 안되며 함부로 물에 뛰어들면 안된다.

가급적 튜브, 장대 등 주위 물건을 이용한 안전구조를 한다.

출발하기 전에 준비할 것들

예정지의 날씨를 확인한다. 예정지의 안전상태와 의료지원 여부를 확인한다. 안전장비와 구급약품을 반드시 준비한다. 간단한 구조법과 응급처치 요령을 알아둔다.

물놀이 이전에 확인하여 둘 것들

물의 깊이와 온도, 물 흐름의 빠르기를 먼저 확인한다. 구조요원과 의무실을 확인하고 유사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둔다. 안전장비의 작동 상태를 꼭 확인한다.

특히 공기 튜브는 바람이 꽉 찼는지, 새는 곳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한다. 유사시에 던져줄 수 있는 물에 뜨는 기구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 어린이들을 위해 어른이 먼저 물에 들어가서 바닥의 상태, 수온, 유속 등을 확인한다. 배꼽 이상 물이 차는 곳에서는 물놀이를 하지 않아야 한다.

물놀이를 하지 않아야 할때

식사 후, 특히 음주 후 열이 나거나, 피곤할 때 햇볕이 너무 강렬할 때 물이 차갑거나, 오염되어 있을 때 물놀이를 하지 않아야 한다.

물놀이 이전에 먼저 하여야 할 것들

피부 보호를 위하여 햇빛 차단 크림을 바른다.

머리카락이 긴 사람은 묶거나 수영모자를 쓴다.

* 물놀이 중에 머리카락이 목에 감길 수 있다.

물놀이를 할 때 주의해야 할 것들

물에 들어갈 때는 손, 발 → 다리 → 얼굴 → 가슴의 순서로 몸에 물을 적신 후 천천히 들어간다.

물 깊이를 알고 있는 곳에서만 물놀이를 한다.

다리에 쥐가 나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온다.

다음의 증상이 있으면 물놀이를 중지한다.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땅기는 증상

피부에 소름이 돋을 때

위급할 때는 한쪽 팔을 최대한 높이 올리고 흔들어 도움을 청한다.

물놀이 중에는 껌이나 사탕을 먹지 않는다. 자신도 모르게 기도를 막을 수 있다.

전체 277 건 - 7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3
댓글+2
댓글+1
댓글+1
댓글+1
댓글+2
댓글+2
댓글+4
댓글+2
댓글+1
댓글+1
댓글+2
댓글+5
댓글+1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