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군/정보] 화천군 하남면의 문화재

본문

하남면의 문화재 자료로 하남면의 문화를 소개하는 홍보 책자를 만들어야되거든요..

화천군 하남면의 문화재 여러가지 사진이랑 간단한 설명과,,

하남면의 문화 쫌 알려주세요

오늘까지요

6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1

이린혜님의 댓글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의 문화재)

1.화천 계성리 석등

종 목  보물 제496호

지 정 일  1968.12.19

소 재 지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594번지(구 괴산분교 자리)

시 대  고려시대

계성리 마을에 서 있는 고려시대의 석등이다. 이 마을에는 계성사의 옛터가 있으며, 절터에는 쓰러진 석탑의 일부와 종모양의 부도 등이 흩어져 있다. 이 석등은 일제 때 절터에서 약 200m밑으로 강제로 옮겨진 것으로 정확한 원래의 위치는 알 수 없다. 일반적으로 석등은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이 중심이 되어, 아래로는 이를 받쳐주는 3단의 받침돌을 쌓고, 위로는 지붕돌과 머리장식을 얹었다. 이 석등은 신라시대에는 8각, 고려시대에는 4각인 일반적인 것에서 벗어나 독특하게 6각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아래받침돌은 거의 묻혀 있어 윗부분만 보이며, 가운데받침돌은 원통형의 기둥에 띠를 두른 것으로, 띠를 이루는 부분에 각종 무늬를 새겨 놓았다. 원통형의 기둥은 고려시대 석등에서도 자주 볼 수 있는 것이나, 그 모양이 전라도 지방에서 유행했던 장고 모양을 닮아 있어 흥미롭다. 화사석은 특히 주목되는 부분으로, 6개의 돌을 세워 6각을 이루게 하였다. 각각의 돌은 좌우를 반타원형으로 깎아낸 것으로, 옆돌과 맞추어져 6개의 타원형 창이 만들어 졌다. 지붕돌은 각 귀퉁이선이 뚜렷하고 추녀 위로는 꽃조각이 작게 돌출되어 있어 멋스럽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으로 보주(연꽃봉오리모양의 장식)를 놓았는데, 지나치게 커서 아래를 누르고 있는 듯 하다. 현재까지 알려진 6각형 석등은 북한지역에 2기를 포함하여 모두 4기가 남아 있는데, 이 석등도 그 중의 하나이다. 높은 기둥 위에 놓여 있어 전체적으로 아름다운 균형감이 흐르고 있으며, 건립연대는 고려 전기로 추정된다.

2.위라리 칠층석탑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30호

지 정 일 1971.12.16 소 재 지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춘화로 3370 (위라리 397)  시 대 고려시대

고려시대의 옛 절터에 남아 있는 7층 석탑이다. 기단부재, 탑몸돌, 지붕돌 등이 사방에 흩어져 있던 것을 수습하여 다시 세운 것으로, 지붕돌과 탑신의 1 ·2 ·3층의 몸돌은 원래의 것이고 4층 이상의 몸돌은 1975년 복원할 때 보충한 것이다.

 

탑의 형태는 커다란 바닥돌 위에 7층의 탑신을 올린 모습이다. 탑신의 몸돌은 각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겨놓았고, 2층에서 1층에 비해 큰 폭으로 높이가 줄어들다가 그 이후부터는 아주 조금씩 줄어들었다. 지붕돌은 밑면의 받침이 3단씩이며, 처마는 수평을 이루다 네 귀퉁이에서 살짝 치켜 올라갔다. 꼭대기에는 머리장식이 모두 없어지고 둥근 돌 하나만 남아 있다.

 

규모만 작을 뿐, 탑신의 몸돌에 기둥을 조각한 것이나 지붕돌받침이 3단인 점 등이 남계원칠층석탑(국보 제100호)과 매우 비슷한 양식과 수법을 보이고 있어 두 탑의 제작연대가 비슷한 시기일 것으로 보인다.

3.화천 용암리 선사유적

종 목  강원도 기념물  제83호

지 정 일 2004.01.17 소 재 지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용암리 1121 외 34필지   시 대 청동기시대

이 유적은 지난 2001년부터 2003년까지 강원문화재연구소의 발굴 결과 집자리 176기, 수혈유구 32기, 굴립주 건물 14동, 토광묘 11기 등 유구의 수가 230여기가 넘어 국내 최고의 밀집도를 보여 주는 청동기시대의 집단 취락유적이다.

 

발굴유구 중 주거지는 상부 구조, 벽체, 출입구 시설 등이 확인되어 청동기시대의 가옥구조를 밝힐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주거지들의 중복관계를 볼 때 화천군 하남면 위라리와 용암리의 하안 충적대지 상에 여러 기간 동안 형성된 취락의 변천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출토유물은 박편의 일부를 갈아 인부를 만든 석기(박편석기)가 대량으로 출토되었고, 다양한 형태의 석부와 석촉을 비롯, 청동기시대의 유적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석기들이 완제품 또는 반제품의 형태로 출토되어 석기 제작과정 및 변화과정을 밝힐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유적의 시기는 앞으로 주거지와 출토유물에 대하여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해 검토될 예정이지만 현재까지의 조사결과로 볼 때 청동기시대 전기의 유적으로, 그 중심시기는 기원전 9세기로 추정된다. 그러나 상한연대는 기원전 10세기경을 상회하는 것도 있을 것으로 보이며, 하한연대는 기원전 6세기경까지도 취락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화천 용암리 일대에 형성된 청동기시대 취락은 최소한 기원전 10세기경부터 6세기 경까지 형성된 집단취락으로서 청동기시대 북한강유역의 생활문화양상과 주거발달사 연구, 청동기문화의 전파경로를 밝혀 줄 수 있는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되며, 동아시아에서도 유례가 드문 마을유적이라는 점에서 지정·보존가치가 크다.

전체 249 건 - 10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3
댓글+3
댓글+5
댓글+3
댓글+4
댓글0
댓글+1
댓글0
댓글+1
댓글+1
댓글+1
댓글+1
댓글+5
댓글+1
댓글+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