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시/기타] 강릉 단오제에 대해 좀 알려주세요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강릉 단오제에 대해 좀 알려 주세요
사회 숙제라서.....
그리고 강릉 단오제가 갇고 있는 역사적 배경하고 강릉 단오제의 성격을 나타내 주는 민속놀이의 종류의 특징과 강릉 단오제와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다른 지역의 단오제를 좀 알려 주세요
좀 많아 요
낼 까지 숙제해야 하는데 얼른 얼른 답변 해 줬으면 좋겠어요
41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방가방가 님의 최신글
- 방가방가 님의 최신댓글
-
잡담 - 많이 본 내용인듯 한데요..22시간 50분전
-
잡담 - 오~~무섭네요22시간 50분전
-
잡담 - 나두 봤음22시간 50분전
-
Q&A - 음...그 짝녀님이 인스타에 스토리를 올린다면 거기에 답장을하면서 이야기를 이어나가셔도 좋을듯해요예를들면 뭐 스토리에 음식사진을 올렸다하면 맛있겠네 라고 보내보거나 그렇게 사소한 얘기하셔도 되구요아님 그냥 뭐해?(좀 과한가)여자들은 남자들한테 이렇게 많이 보내거든요 이렇게 뭐하냐고 물어봐도 되구요2025-10-07
-
Q&A - 아예 안 친한 상태에서 말을 이어나가기 좀 그러면 스토리 올릴 때마다 공감할만한 멘트로 디엠을 날리는 건 어떨까요 쌓이다 쌓이면 그냥 스토리 통해서 아니더라도 대화하는 사이 됩니다2025-10-07
-
Q&A - [음식물쓰레기]식품의 생산‧유통‧가공‧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수‧축산물 쓰레기와 먹고 남은 음식찌꺼기 등을 말하는데요.음식조리를 위해 다듬으면서 버리는 식품쓰레기, 유통기간 경과로 버리는 식품 쓰레기도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됩니다.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하는 기준은 동물사료 혹은 식물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가 인데요.대파‧미나리 등 채소류의 뿌리나, 양파‧마늘‧옥수수 등의 껍질은 대체로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는답니다. 호두‧땅콩 등 견과류의 껍질이나 복숭아‧감 등 딱딱한 씨앗, 그리고 두껍고 딱딱한 생선뼈도 음식물쓰레기 제외 대상…2025-10-03
-
Q&A - 원주시, 나만 잘하면 됩니다. 생활쓰레기 분리배출!! - 중앙일보 - 조인스 https://news.joins.com/article/21238104 2017. 2. 9. - 원주시는 최근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해 배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효율적인 자원회수와 재활용 정착을 위해 분리배출 생활화를 위한 홍보 활동 ... 원주시,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배출량 감소 https://news.joins.com/article/12238451 2013. 8. 2. - 작년 7월에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1673톤이었으나 종량제를 시…2025-10-03
-
잡담 - 안무서운지...2025-10-02
-
잡담 - 많이 본 내용인듯 한데요..22시간 50분전
-
잡담 - 오~~무섭네요22시간 50분전
-
잡담 - 나두 봤음22시간 50분전
-
Q&A - 음...그 짝녀님이 인스타에 스토리를 올린다면 거기에 답장을하면서 이야기를 이어나가셔도 좋을듯해요예를들면 뭐 스토리에 음식사진을 올렸다하면 맛있겠네 라고 보내보거나 그렇게 사소한 얘기하셔도 되구요아님 그냥 뭐해?(좀 과한가)여자들은 남자들한테 이렇게 많이 보내거든요 이렇게 뭐하냐고 물어봐도 되구요2025-10-07
-
Q&A - 아예 안 친한 상태에서 말을 이어나가기 좀 그러면 스토리 올릴 때마다 공감할만한 멘트로 디엠을 날리는 건 어떨까요 쌓이다 쌓이면 그냥 스토리 통해서 아니더라도 대화하는 사이 됩니다2025-10-07
-
Q&A - [음식물쓰레기]식품의 생산‧유통‧가공‧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농‧수‧축산물 쓰레기와 먹고 남은 음식찌꺼기 등을 말하는데요.음식조리를 위해 다듬으면서 버리는 식품쓰레기, 유통기간 경과로 버리는 식품 쓰레기도 음식물쓰레기에 해당됩니다.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하는 기준은 동물사료 혹은 식물비료로 사용할 수 있는가 인데요.대파‧미나리 등 채소류의 뿌리나, 양파‧마늘‧옥수수 등의 껍질은 대체로 음식물 쓰레기로 분류되지 않는답니다. 호두‧땅콩 등 견과류의 껍질이나 복숭아‧감 등 딱딱한 씨앗, 그리고 두껍고 딱딱한 생선뼈도 음식물쓰레기 제외 대상…2025-10-03
-
Q&A - 원주시, 나만 잘하면 됩니다. 생활쓰레기 분리배출!! - 중앙일보 - 조인스 https://news.joins.com/article/21238104 2017. 2. 9. - 원주시는 최근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해 배출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어 효율적인 자원회수와 재활용 정착을 위해 분리배출 생활화를 위한 홍보 활동 ... 원주시, 공동주택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배출량 감소 https://news.joins.com/article/12238451 2013. 8. 2. - 작년 7월에는 음식물쓰레기 배출량이 1673톤이었으나 종량제를 시…2025-10-03
-
잡담 - 안무서운지...2025-10-02
SNS
댓글목록 3
즐거운음악과님의 댓글
단오제가 궁금했는데, 어느 정도 알듯 합니다.
스트롱맘님의 댓글
이걸보고하세염
방가방가님의 댓글
1)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는 북위 37°54‘ 남위 37°27’, 동경 129°04‘, 서경 128°35’에 위치한 대한민국 강원도 강릉시 중심으로 매년 음력 4월 5일부터 5월 7일까지 1개월 동안 진행되는 축제로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신청하고자 하는 대상은 본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제례의식, 무용, 노래, 놀이 등이다.
강릉시는 동쪽은 바다, 서쪽은 태백산맥이 위치하고 있어 산맥에서 바다까지의 거리가 짧아 지형의 경사가 급하고 평야가 적게 발달하였다. 또한 강릉은 선사시대부터 문화가 싹텄던 곳으로 봄에는 바람이 많고 여름에는 폭우가 자주 내리고 가을과 겨울에는 바다의 파도가 높고 겨울에는 눈이 많이 내리는 등 비교적 기후조건이 나쁜편 이었다. 강릉단오제는 이와같이 농경과 어로의 불리한 자연환경 속에서도 종교적이 믿음과 문화적 창조성을 바탕으로 민중축제의 형태로 발전되었다.
현재의 강릉은 BC 120년 부족국가 였던 ‘예국’의 수도였으며 이시기부터 문화적 요충지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삼국시대 1300년 전에는 ‘명주(강릉의 옛지명)’로서 독자적인 행정체제를 유지하였으며 고려시대 1000년 전에는 선종을 받아들여 독자적인 불교문화를 번성시켰다. 조선시대 500년 전에는 유교문화를 받아들여 양반문화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문화환경은 지배계층과 피지배계층 모두에 걸치는 융합의 문화를 발전시켰다. 이러한 배경에서 농악, 농요, 가면극, 민속놀이, 무속제의 등이 번성하였고, 이들을 통합하여 ‘강릉단오제’라는 축제로 진화해왔다
강릉단오제의 놀이
강릉단오제는 세시놀이로서 그네와 씨름, 농경사회의 산물로서 농악 놀이와 줄다리기, 제의적 놀이로 괫대 메기 등 다채로운 놀이 형식을 연행하는 전통민속 축제임
강릉단오제의 성격
강릉단오제는 유교식 제사와 샤머니즘적 무당굿이 공존하는 특징이 있음. 또한 端午燈 迎神行事, 端午燈 띄워 보내기와 같은 불교식 제의를 포괄하여 제의의 다양성이 조화를 이루는 형식임.
강릉단오제는 전통사회의 생활문화를 체험, 전승하는 형식을 갖추고 있음. 각 가정 단위로 신주빚을 쌀 바치기, 단오부채 만들기, 진또배기(솟대)깎기, 관노가면극 탈 그리기, 수리취떡 치기와 먹기, 단오제 신주 음복하기, 창포 삶은 물에 머리 감기, 단오부적 써서 받기 등 단오제를 통해 전통사회의 문화를 체험함.
2)법성포단오제
조선 중기 이후 400여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법성 단오제는 서해안 최대의 민속 축제의 장으로 자리잡았다. 굴비로 유명한 법성포에 이처럼 규모 있는 단오제가 일찍이 형성될 수 있었던 까닭은 이곳에 호남지방 28개 마을에서 세금으로 거둬들인 곡식을 보관하거나 운송하던 조창이 있었고 봄이면 이곳에서 전국 최대의 조기 파시가 열렸기 때문이다. 권위와 전통을 자랑하던 법성 단오제는 1907년경 한때 그 맥이 끊겼다. 일본의 강압에 의해 군대가 해산당하고 전국 각처에서는 의병이 봉기했으며 특히 조창이 있었던 법성에서는 의병과 일본군과의 전투가 자주 일어나는 등 나라 안이 어수선했다. 그러다가 법성 단오제는 8.15광복 후 1946년 부활됐고 그 뒤로 잘 치러지다가 1976년 그네뛰기 행사 중 발생한 인명사고로 또 다시 10여년 간 중단되었으나 지난 1986년 다시 부활됐다. 법성 단오제는 기존의 용왕제, 당산제 등과 같은 제전행사와 민속놀이 위주에서 탈피, 각종 이벤트 행사가 접목되면서 지역민은 물론 외지 관광객이 함께 참여하는 축제형태로 열리고 있다. 1989년부터는 특산물의 홍보 및 판촉을 위해 부대행사로 개최되던 `굴비아가씨 선발대회'를 중단하고 지난해부터 전국규모의 그네뛰기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국내 최대 규모의 그네를 설치하여 명실공히 전국 으뜸의 그네뛰기 대회로 부상하고 있다. 또 부대행사로 `굴비골 영광 전국 마라톤대회'를 신설하여 우리 조상들의 전통 민속놀이를 계승해 갈 계획이다.
행 사 이 름
내 용
의 식 행 사
개막식, 용왕제, 인의제, 당산제 등 제전행사
민 속 공 연
선유놀이(뱃놀이), 그네, 씨름, 제기차기 등
공 연
공옥진창무극(국악인 공옥진의 1인 창무극으로 한국의 전통적인 소리에 춤·재담·몸짓이 어우러진 해학과 풍자의 무대)
경 연 대 회
기대회, 마라톤대회, 전국 국악경연대회, 씨름대회, 전국 학생댄싱경연대회, MBC 단오가요제, KBS열린음악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