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군/정보]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의 문화재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의 유형,무형문화재좀요-!!
사진이랑 간단한 설명도 올려주시면 감사합니다!
제발 빨리요-!!급합니다!!
7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삼슬 님의 최신글
- 삼슬 님의 최신댓글
-
Q&A - 안되요5시간 10분전
-
Q&A - ■ 딴산유원지 인공폭포2025-01-06
-
Q&A - 양구군의 배꼽축제에 지역의 자연및 인문현상이 들어간걸 질문하셨는데,인문현상은 특별한게 없고 자연현상이라면 양구군이 주장하고있는 국토의 정중앙이 사람으로치면 배꼽부위에 해당한다고해서 배꼽축제로 명칭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2025-01-04
-
Q&A - 아이고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ㅠㅠㅠ돈이 많아도 여친이 없는사람 허다합니다.그리고 한번 객관적으로 본인을 평가해보세요잘생겼나?멋있나?몸이 좋은가?키가 큰가?거지가 잘생겨도 여친이 있답니다2025-01-01
-
Q&A - 그럼 여자사귀는 사람들은 다 거부의 아들인가요?그럼 전세계적으로 여자를 사귀는 사람은 200명밖에안되겠네요. 말도안되는소리죠2025-01-01
-
Q&A - 그건 아닌듯요...본인의 행동 성격 기타등등이 비롯된것일거에요2025-01-01
-
Q&A - 네. 그리고 얼굴도 한몫할 것 같네요2025-01-01
-
Q&A - 저도 하는거보면다른이유가 있지싶습니다2025-01-01
-
Q&A - 안되요5시간 10분전
-
Q&A - ■ 딴산유원지 인공폭포2025-01-06
-
Q&A - 양구군의 배꼽축제에 지역의 자연및 인문현상이 들어간걸 질문하셨는데,인문현상은 특별한게 없고 자연현상이라면 양구군이 주장하고있는 국토의 정중앙이 사람으로치면 배꼽부위에 해당한다고해서 배꼽축제로 명칭한것으로 알고있습니다.2025-01-04
-
Q&A - 아이고 왜 그렇게 생각하세요 ㅠㅠㅠ돈이 많아도 여친이 없는사람 허다합니다.그리고 한번 객관적으로 본인을 평가해보세요잘생겼나?멋있나?몸이 좋은가?키가 큰가?거지가 잘생겨도 여친이 있답니다2025-01-01
-
Q&A - 그럼 여자사귀는 사람들은 다 거부의 아들인가요?그럼 전세계적으로 여자를 사귀는 사람은 200명밖에안되겠네요. 말도안되는소리죠2025-01-01
-
Q&A - 그건 아닌듯요...본인의 행동 성격 기타등등이 비롯된것일거에요2025-01-01
-
Q&A - 네. 그리고 얼굴도 한몫할 것 같네요2025-01-01
-
Q&A - 저도 하는거보면다른이유가 있지싶습니다2025-01-01
SNS
댓글목록 1
꽃님이님의 댓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의 문화재)
1.고성 건봉사 능파교
종 목 보물 제1336호 지 정 일 2002.02.06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 (냉천리 36) 시 대 조선시대
고성 건봉사의 대웅전 지역과 극락전 지역을 연결하고 있는 무지개 모양의 다리로, 규모는 폭 3m, 길이 14.3m, 다리 중앙부의 높이는 5.4m이다.
사적기에 따르면 건봉사는 신라 법흥왕 7년(서기 520년)에 아도 스님에 의해 원각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 이후 신라 말 도선 국사가 중수한 뒤 절의 서쪽에 봉황새 모양의 돌이 있다고 하여 서봉사라 하였으며, 고려 공민왕 7년(1358년)에는 나옹 스님이 중수하면서 다시 건봉사라 이름하였다.
다리의 중앙부분에 무지개 모양의 홍예를 틀고 그 좌우에는 장대석으로 쌓아서 다리를 구성하였는데, 홍예는 하부 지름이 7.8m이고 높이는 기석의 하단에서 4.5m이므로, 실제 높이는 조금 더 높다.
조선 숙종 34년(1708)에 건립된 경내 불이문 옆의 '능파교신창기비'에 의하면 이 다리가 숙종 30년(1704)부터 숙종 33년(1707)사이에 처음 축조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영조 21년(1745)에 대홍수로 붕괴되어 영조 25년(1749)에 중수하였고, 고종 17년(1880)에 다시 무너져 그 석재를 대웅전의 돌층계와 산영루를 고쳐 쌓는데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규모가 비교적 크고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는 다리로, 축조연대와 건립자 등을 알려주는 비석을 갖추고 있어 홍예교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2.각자장
종 목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6호
지 정 일 2004.05.21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자산천로 23 (반암리 230-15)
기능보유자 이창석
각자장은 글자를 새기는 장인으로, 각자 작품은 인쇄를 목적으로 하는 목판과 목활자, 건물에 거는 편액 · 시판 등 현판류 등이 주종을 이루며, 의걸이장과 책장 등 목가구에도 활용되는 등 그 쓰임새가 다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적인 각자문화는 근래에 이르러 사진술과 인쇄물의 발달로 인해 급속히 사라져 가고 있는 실정이므로 전통기술의 보존·계승을 위하여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이창석은 1978년부터 각자를 해 온 장인으로, 『월인석보』 권22,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집왕성교서』 등의 목판 전체를 복원하였을 뿐만 아니라 많은 목판들을 제작하였다. 또한 철저한 분석과 고증을 통해 『동국정운』 등 다수의 목활자를 복원하는 등 전통적인 각자 기능이 뛰어나 그의 우수한 제작기능을 보존·전승하기 위해 보유자로 인정하였다.
3.화진포
종 목 강원도 기념물 제10호 면적 일원(2,389,843㎡) 지 정 일 1971.12.16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화포리 산24-1외 7필지
동해안 최대의 호수로 둘레가 약 16㎞나 되며 명사십리에 버금가는 경치를 이루고 있다.
수천 년 동안 조개껍질과 바위가 부서져서 이룩된 이 호수는 잉어 등 민물고기와 도미·전어와 같은 바닷물고기가 많아 낚시꾼들이 즐겨 찾는다. 넓은 백사장과 아름다운 소나무로 여름철에는 해수욕을 하려는 사람들도 많이 찾는다. 또한 호수 주위에 피어 있는 해당화는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고 있어 고성군의 꽃으로 지정되어 있다.
화진포는 동해안에서 모래빛이 하얗기로 유명하며, 최적의 해수욕장으로서 여름이면 피서객들이 많이 찾아든다.
4.고성 건봉사지
종 목 강원도 기념물 제51호
지 정 일 1982.11.03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 (냉천리 36) 시 대 신라시대
건봉사는 전국 4대 사찰의 하나로, 신라 법흥왕 7년(520) 때 아도화상이 지은 절이다. 처음에는 ‘원각사’라고 불렀으나, 이 절의 서쪽에 새모양으로 생긴 바위가 있어 건(乾)과 봉(鳳)을 합쳐 ‘건봉사’로 바뀌게 되었다.
경덕왕 17년(758)에 발징화상이 고쳐 지었고, 고려 공민왕 7년(1358)에 나옹화상이 다시 고쳤다고 한다.
전설에 의하면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사명대사가 승병을 모집하였는데 모두 6,000여 명이 모여서 왜적을 무찔렀다고 한다.
한국전쟁 때 불타 지금은 옛 절터만 남아있다.
5.건봉사 불이문
종 목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35호 지 정 일 1984.06.02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건봉사로 723 (냉천리 36) 시 대 조선시대
한국전쟁 때 폐허가 된 건봉사 절터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이다. 불이문은 해탈문이라고도 하는데 불교에서는 번뇌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를 뜻하는 문이다. 건봉사터에 남아 있는 불이문은 1920년에 세운 것이다.
불이문은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로,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을 얹었다. 각각의 기둥에는 금강저 문양을 새겨 놓았으며 앞면 처마 밑에는 ‘불이문’현판이 걸려 있다. 이 현판은 조선 마지막 왕세자인 영친왕의 스승이었던 해강 김규진이 쓴 것이다.
6.고성 합축교
종 목 등록문화재 제143호 등 록 일 2004.12.31 소 재 지 강원도 고성군 거진읍 상리 214-1 외, 거진읍 대대리 6-1 외 시 대 현대
길이 216m, 폭 6m, 높이 5m인 총 25개의 교량으로 6·25전쟁을 전후로 남과 북에서 합작하여 건설했다. 그중 남쪽의 17개 교량은 1948년 북한의 강원도 인민위원회가, 북쪽의 8개 교량은 1960년 국군공병대가 완공했다.
6·25전쟁의 아픈 역사와 남북분단의 현실, 남북화해시대의 상징적인 구조물로 평가받고 있으며 남북한 건설 공법의 차이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가치가 있다.
남과북이 건설한 시기는 다르나 남북한이 일부씩 만든 다리로 남북한 건설공법의 차이도 살펴볼 수 있는 점에서 의미있는 다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