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군/정보] 평창군 용평면의 문화재

본문

평창군 용평면의 문화재 좀 알려주세요. 별은 무조건5개 에요.
51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1

수마노님의 댓글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의 문화재)

둔전평농악

종 목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5호 지 정 일 2003.04.25 소 재 지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 용전리 135-15  기능보유자  이종현(상쇠), 김은영(상쇠)

강원도 평창군 용평면은 영동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둔전동과 방덕동을 병합하여 용전리라 불렀으며, 둔전동 일대에서 전승되었으므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평창지역에는 1970년대 진부·대화·방림·백옥포·장평·미탄·유천 등지에 농악대가 있었으며, 평창읍 중리 농악이 오랫동안 지역대표성을 갖고 활동했다. 이후 이와 쌍벽을 이룬 백옥포농악의 전승이 끊기자 이를 계승한 용전농악이 형성되었고, 이것이 둔전평농악이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편, 평창농악이 각종 행사에 모습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77년인데, 그 가운데 백옥포농악이 이석제·신수화 등의 노력으로 전국규모의 행사에서 각광을 받다가 1978년 제19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하면서 전국에 알려졌다. 백옥포농악의 전통을 계승한 둔전평농악은 용전농악이라는 이름으로 1993년 제11회 강원도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종합우수상을 받고,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을 거듭하여 2001년 제19회 강원도 민속예술축제에서 둔전평농사놀이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2002년에는 제43회 한국민속예술축제에 강원도 대표로 참가하여 문화관광부장관상을 수상하였다.

둔전평농악은 영동권, 특히 강릉농악의 영향을 받았으나 영서지역 농악도 일부 수용하여 개성있는 농악놀이를 형성하였다. 특히 농사풀이와 동고리받기, 서낭굿 등은 강원도 농악의 독창적 세계를 보여주고 있다.

전체 153 건 - 10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1
댓글+1
댓글0
댓글0
댓글+1
댓글0
댓글+1
댓글+1
댓글+1
댓글0
댓글+1
댓글+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