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정보] 동해시 추암동의 문화재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우리고장에 문화재를 알려주세요!!(동해시 추암동입니다)
57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올리버 님의 최신글
- 올리버 님의 최신댓글
-
뽐&팁 - 아이디어가 참 좋은데요2025-04-16
-
잡담 - 정신이 나간나라군요 ㅎ2025-04-14
-
잡담 - 어~~~이건 아닌데2025-04-14
-
잡담 - 헠...이건 좀 심한듯 보입니다.2025-04-14
-
잡담 - 이건 아닌듯...2025-04-14
-
잡담 - 중국 싫음2025-04-14
-
Q&A - 친구가 만약 이성이라면 그 친구의 애인이 생겨서 그런거일수도있고, 동성이라면 요즘 왜그러냐고 한번 물어보시죠 근데 중학교 부터 대학생 까지 그런거면 그 친구가 다른 친구를 많이 만들었다거나 그럴수도 있겠죠. 너무 한친구만 사귀려고 하지마세요 그러다 보면 주변에 남는게 없습니다.2025-04-11
-
Q&A - 안타까운 사연이네요...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친구분은 좋은 친구를 두셨네요^^ 다른 학교를 가게 되었지만, 그런 친구를 챙기는 질문자님의 마음 씀씀이에 저도 마음이 훈훈해지네요.우선 무조건 미워하고 원망하시기 보단... 그친구분도 다른 사정이나 이유가 있으실거 같아요. 진지한 대화를 해보시는게 어떨까요?일이 잘해결되서 친구분과 다시 원만하게 지내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2025-04-11
-
뽐&팁 - 아이디어가 참 좋은데요2025-04-16
-
잡담 - 정신이 나간나라군요 ㅎ2025-04-14
-
잡담 - 어~~~이건 아닌데2025-04-14
-
잡담 - 헠...이건 좀 심한듯 보입니다.2025-04-14
-
잡담 - 이건 아닌듯...2025-04-14
-
잡담 - 중국 싫음2025-04-14
-
Q&A - 친구가 만약 이성이라면 그 친구의 애인이 생겨서 그런거일수도있고, 동성이라면 요즘 왜그러냐고 한번 물어보시죠 근데 중학교 부터 대학생 까지 그런거면 그 친구가 다른 친구를 많이 만들었다거나 그럴수도 있겠죠. 너무 한친구만 사귀려고 하지마세요 그러다 보면 주변에 남는게 없습니다.2025-04-11
-
Q&A - 안타까운 사연이네요...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친구분은 좋은 친구를 두셨네요^^ 다른 학교를 가게 되었지만, 그런 친구를 챙기는 질문자님의 마음 씀씀이에 저도 마음이 훈훈해지네요.우선 무조건 미워하고 원망하시기 보단... 그친구분도 다른 사정이나 이유가 있으실거 같아요. 진지한 대화를 해보시는게 어떨까요?일이 잘해결되서 친구분과 다시 원만하게 지내시길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2025-04-11
SNS
댓글목록 1
둘이아빠님의 댓글
(강원도 동해시 추암동의 문화재)
북평 해암정
종 목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63호
지 정 일 1979.05.30
소 재 지 강원도 동해시 촛대바위길 19 (추암동 474-5)
시 대 고려시대
삼척 심씨의 시조 심동로가 벼슬을 버리고 내려와 제자를 가르치며 생활할 때 지은 정자로 고려 공민왕 10년(1361)에 처음 짓고, 조선 중종 25년(1530)에 심언광이 다시 지었다.
심동로는 어려서부터 글을 잘하였는데, 고려말의 혼란한 상태를 바로잡으려 노력하다가 권력을 잡고있던 간신배들이 마음에 들지않아 고향으로 내려가려고 하였다. 왕은 그를 말렸으나 노인이 동쪽으로 간다는 뜻의 ‘동로’라는 이름을 내리면서 결국 허락하였다.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앞면을 제외한 3면은 모두 4척 정도의 높이까지 벽을 만들고 모두 개방하였다.
이곳에는 송시열이 덕원으로 유배되어 가는 도중 들러 남긴 ‘초합운심경전사’라는 글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