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군/교육] 신윤복의 업적 제발 빨리요ㅜㅜㅜㅜㅜㅜㅜ

본문

신윤복의 어린시절, 가깝게 지낸 사람들 , 업적 ,가치관 등을 알려주세요 제발 빨리요!!!!!!!!!!!
47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1

나희맘임돠님의 댓글

회원사진

신윤복(申潤福)은 1758년(영조 34)에 태어났다. 부친 신한평(申漢枰)과 조부 역시 도화서 화원으로, 특히 신한평은 영조와 정조의 어진 제작에 참여했으며 초상화뿐 아니라 산수화와 화조화에 뛰어났다. 신윤복은 집안의 대를 이어 어려서 그림에 입문해 화원이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극히 일부만 전해질 뿐 거의 알려진 바가 없기 때문에 그의 행적을 추적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일설에 의하면 그가 남녀 간의 춘정을 즐겨 그린다는 이유로 도화서에서 쫓겨났다고 전한다.

신윤복은 김홍도(金弘道), 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시대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 외에도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산수(山水)와 영모(翎毛) 등에 재능을 보였다. 일찍이 아버지의 화법을 익혔고, 선배 화원이자 당시 천재성을 인정받았던 김홍도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다. 그의 그림과 글씨를 보면 서체나 수파묘(水波描), 하엽준법(荷葉皴法) 등에서 김홍도의 화풍이 변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 아래에서도 신윤복은 자신의 화풍을 개척하여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독특한 풍속화를 발전시켰다.

신윤복은 소재 선정부터 필법과 구성, 색채 표현에서 김홍도와 큰 차이를 보인다. 김홍도가 소탈함과 익살이 깃든 서민층의 풍속을 다룬 것에 반해, 신윤복은 양반층의 풍류나 남녀 간의 연애, 향락적인 생활을 주로 그렸다. 김홍도는 선이 강하고 빠른 반면 신윤복의 선은 가늘고 유연하다. 김홍도는 주제를 살리기 위해 배경을 생략하는 구성을 즐겼지만, 신윤복은 오히려 치밀한 주변 배경 묘사로 주제를 부각시켰다. 채색도 엷은 갈색으로 되도록 절제한 김홍도에 비해 신윤복은 부드러운 담채 바탕에 빨강, 노랑, 파랑의 산뜻하고 또렷한 원색을 즐겨 사용했다.

신윤복의 풍속화는 무엇보다도 남녀의 애정행각을 다룬 에로틱한 표현의 춘의도가 많다. 이는 조선시대 성리학 이념의 폐쇄적 굴레에 반하는 획기적인 일로 그는 양반귀족들의 위선과 불륜을 대담하게 파헤치고 풍자하면서 인간의 본질적이고 은폐되었던 면을 화폭에 담아냈다. 또한 남성 위주의 사회에서 존재감을 얻지 못했던 여성들을 작품에 등장시키고, 더욱이 조선시대 가장 천한 신분에 속했던 기녀를 주인공으로 하여 기방(妓房)이나 여속(女俗)에 대한 관심을 고도의 회화성으로 끌어올렸다.

신윤복이 이러한 풍속화를 그릴 수 있었던 배경에는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로 이어지는 시대 변화와 다양한 후원자들의 도움이 컸다. 조선 후기 서민 지주들은 초기 상업화 과정에서 경제력을 축적하여 양반 못지않게 생활 저변을 확대시킬 수 있었다. 이들은 전통 사대부와는 다른 취향을 가지고 풍속화의 든든한 후원자가 되어 주었다. 신윤복은 양반 사대부의 고리타분한 체면 문화에서 한 발 물러나 자신이 걷고자 하는 길을 걸었다. 더군다나 제도권에서 쫓겨나면서 더욱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소재에 몰입할 수 있었다.

신윤복은 풍속화를 통해 시대를 고발하거나 비판하기보다 현실을 긍정하고 낭만적인 풍류와 해학을 강조했다. 그는 당시 봉건적인 사회 분위기 속에서 남녀 간의 성 풍속을 과감하게 화폭에 보여줌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조선시대 사회풍속의 숨겨진 이면을 이해할 수 있게 해주었다. 그리고 그러한 풍속을 도회적인 세련된 감각과 섬세한 필치로 형상화하여 조선시대 풍속화의 영역을 보다 다채롭게 넓혀 주었다. 그의 작품은 미술사 연구뿐만 아니라 동시대의 생활사와 복식사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국보 제135호로 지정된 『혜원풍속화첩(혜원전신첩)』(18세기 말~19세기 초)이 전해진다. 《단오풍정》, 《월하정인》,《봄나들이》, 《뱃놀이》 등 신윤복의 풍속화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들로 모두 30여 점으로 구성된 이 화첩은 간송미술관 소장품으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전시를 통해 외국에도 잘 알려진 그림이다. 이 외에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탄금(彈琴)》 등 6점으로 된 화첩 또한 명품이다. 아울러 초상기법으로 그린 《미인도》(19세기 초)는 조선 여인의 아름다움을 잘 드러낸 걸작으로 손꼽힌다.

출처 지식백과 두산백과

전체 46,333 건 - 1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1
댓글+4
댓글0
댓글+2
댓글+1
댓글+1
댓글+2
댓글+1
댓글+3
댓글+3
댓글+4
댓글+3
댓글+1
댓글+1
댓글+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