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정보] 영월 금강정에 걸려 있는 편액에 대한 사진과 해설을 수록한 안내서 같은 것은 없나요?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영월 금강정에 걸려 있는 편액에 대한 사진과 해설을 수록한 안내서 같은 것은 없나요?
71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강원도남자 님의 최신글
- 강원도남자 님의 최신댓글
-
홍보 - 먹고 싶네요...배고팡!!!!2025-02-18
-
Q&A - 아무리그래도 님이 너무 하셨네요 하지만 진심으로 사과를 드리세요2025-02-17
-
갤러리 - 여기서 찍은 사진 나도 가지고 있어요...넘 좋더라구요2025-02-14
-
Q&A - ??? 지우다 없는거같은데요..?2025-02-12
-
Q&A - 안녕하세요그럼 좋죠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포인트로 감사"로 마음을 전해 주세요^^2025-02-07
-
Q&A - 남자는 원래 진도를 빨리 나가려 하죠그럴때 여자는 한번씩 브레이크를 밟아 주어야 합니다여자도 같이 진도를 나가면 금방 싫증이 나서 서로에게 설레임이 없습니다꼭 브레이크를 한번씩 밟아 주세요2025-01-29
-
Q&A - 사귄지 얼마 됐어요?2025-01-29
-
Q&A - 남자친구 성격인가봅니다 .. 불편하면 두분대화해서 풀어나가세요 서로맞춰가자고 아니면 본인만 자꾸더 불편해서 사귀는것도 불편해져요2025-01-29
-
홍보 - 먹고 싶네요...배고팡!!!!2025-02-18
-
Q&A - 아무리그래도 님이 너무 하셨네요 하지만 진심으로 사과를 드리세요2025-02-17
-
갤러리 - 여기서 찍은 사진 나도 가지고 있어요...넘 좋더라구요2025-02-14
-
Q&A - ??? 지우다 없는거같은데요..?2025-02-12
-
Q&A - 안녕하세요그럼 좋죠답변이 도움 되셨다면 "포인트로 감사"로 마음을 전해 주세요^^2025-02-07
-
Q&A - 남자는 원래 진도를 빨리 나가려 하죠그럴때 여자는 한번씩 브레이크를 밟아 주어야 합니다여자도 같이 진도를 나가면 금방 싫증이 나서 서로에게 설레임이 없습니다꼭 브레이크를 한번씩 밟아 주세요2025-01-29
-
Q&A - 사귄지 얼마 됐어요?2025-01-29
-
Q&A - 남자친구 성격인가봅니다 .. 불편하면 두분대화해서 풀어나가세요 서로맞춰가자고 아니면 본인만 자꾸더 불편해서 사귀는것도 불편해져요2025-01-29
SNS
댓글목록 1
열공하자님의 댓글
영월금강정은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 보래산 아래에 있는 조선시대의 누정입니다
강원문화재자료 제24호.
1428년(세종 10)에 김복항(金福恒)이 세웠다고 하나 영월제영(寧越題詠)에 의하면 장정공(莊靖公) 이무(李堥)가 영월군수로 있을 때 금강의 아름다운 경치에 반하여 사재를 들여 정자를 짓고 금강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퇴계 이황이 안동에서 춘천으로 가던 중 금강정에 들러 지은 것으로 보이는 「금강정」이라는 시(詩)도 전하고 있다. 한편, 우암 송시열(宋時烈)도 1684년(숙종 10)에 금강정에 주위로 펼쳐지는 절경을 바라보며 『금강정기(錦江亭記)』를 썼다.
건추형식은 앞면 4칸, 옆면 3칸의 익공계(翼工系)의 겹처마 팔작지붕건물이다. 정자의 바닥은 우물마루이며 출입하는 칸을 제외한 나머지 칸에는 머름이 둘러져 있다. 정자 안에는 이승만(李承晩) 전 대통령의 친필인 ‘금강정(錦江亭)’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김복항(金復恒)이 세운 이후 군수 이야중(李野重)이 무너져 버린 것을 다시 세우고, 1792년(정조16년)에 부사 박기정(朴基正)이 중수하였다고 한다.
1969년과 1976년에 단청을 다시 칠하는 등의 부분 보수를 하였다.
주위에는 낙화암(落花岩)·민충사(愍忠祠)·정조대왕태실비(正祖大王胎室碑) 등의 유물·유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