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원군/생활] 낚시 - 강원도 철원에는 어떤 낚시터가
게시글 신고 안내
- 아래 내용중 해당하는 내용이 있을경우 아래 게시글신고 버튼을 클릭하시고 사유를 작성해주시면 빠른시간 안에 삭제및 필요조치하여 드리겠습니다.
- 로그인후 이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답변은 메뉴 아이러브강원 > 1:1문의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 자신 또는 제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 모략으로 명예를 손상시키는 내용
- 범죄행위와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내용
- 다른 회원 또는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
- 타인의 개인정보,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경우
- 자신의 글을 타인이 도용한 경우
- 위의 내용 이외에 기타사항
본문
철원에는 어떤 낚시터가 있나요?
59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 가온마미 님의 최신글
- 가온마미 님의 최신댓글
-
Q&A - 가장힘들었던곳에서2025-04-01
-
Q&A - 양구돌산령지게놀이(楊口돌산령지게놀이)2025-03-31
-
Q&A - 한밤중에 갑자기 카톡오면 무섭지않나요 저만 그랬나 안그래도 페메 관련된 무서운 영상 봐서 개 쫄아이썽는데...ㅜㅜ2025-03-29
-
Q&A - 남자 혼자 일주일동안 20만원으로 여행2025-03-26
-
유머 - 움직이는 양꼬치2025-03-25
-
Q&A - 성별 상관없이 같겠죠?2025-03-18
-
Q&A - 이런 남자가 오늘날 한국에 있다면 대한민국 모든여자 다 가져요?2025-03-16
-
유머 - 잔소리 똥2025-03-15
-
Q&A - 더 큰 행복으로 느껴질듯요본 답변은 저의 지식과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또한,특정 답변은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관계가 얽혀 있음을 밝힙니다.답변을 추천해주시면 소외된 이웃에게 기부할 수 있는 해피빈이 답변자에게 지급됩니다. 기부할 수 있도록?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시길 바랍니다.2025-04-01
-
Q&A - 힘들었던 곳을 그대로 놔두면 힘들었지 하며 슬픈 추억을 회상하지만 , 그 장소에서 행복한 기억을 만들면 비록 그땐 힘들었지만 그 일 덕분에 행복했었지라며 행복한 추억으로 바꿀 수 있으니 좋은거죠. 비극을 비극으로 두는것 보다 희극으로 바꾸려는 그 노력과 생각자체가 이미 충분히 행복한 사람인거 같아요2025-04-01
-
Q&A - 1999년 7월 30일 강원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당시 팔랑마을 나무꾼들이 돌산령을 오르며 하던 놀이이다. 화전을 일구어 생활하던 산간 농촌지방의 전통 민속놀이로, 대암산(大巖山)·도솔산(兜率山) 등을 끼고 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전해오고 있다. 당시 나무꾼들은 지게장단을 치며 동네를 1바퀴 돈다. 그러면 나무꾼이 점차 늘어나게 되고, 장단은 점차 흥겨워진다. 이렇게 모인 40여 명의 나무꾼들은 산을 오르면서 지게 상여를 꾸민다. 그런 후 편을 갈라 싸움을 하기도 하고, 장례 절차를 그대로 흉내내는 등 장난을 친다. 그러다…2025-03-31
-
Q&A - 종목 : 시도무형문화재 7호분류 : 놀이와의식소재지 : 강원 양구군 동면 팔랑리지게놀이는 우리나라 전통의 운반수단이었던 지게를 이용한 민속놀이이다. 산이 많고 따로 길이 없는 농촌과 산촌에서는 지게가 필수적인 운반수단이었다. 강원도 양구지방에서는 노동의 고달픔과 단조로움을 잊고 즐거움을 얻고자 지게를 이용한 놀이를 했다. 양구 돌산령지게놀이에는 개인적으로 승부를 내는 지게걸음싸움과 단체로 하는 상여 놀이가 있다. 지게걸음싸움은 지게의 두 다리 위에 올라가 지게 머리를 잡고 걸어가서 상대를 부딪쳐 쓰러뜨리는 놀이이다. 상여놀이는 편을…2025-03-31
-
Q&A - 갑자기 모르는 사람한테 오면 개서름돋죠;;바로 차단 박습니다2025-03-29
-
Q&A - 무서운거 보면 더놀라요2025-03-29
-
Q&A - 찜질방은 전국이 코로나 때문에 안되고,1박에 15,000원짜리 게스트하우스도 구하기 힘들어요.2만원으로 게산하면 6박에 12만원나머지 8만원으로 먹고 이동해야 합니다, 왠만하면 체류지에서 걷구요.아마 추가로 10만원 정도는 더해야...아침 3,000원x 6끼+점심/저녁 8천원 x 13끼 = 122,000원이천--->여주--->원주--->제천--->단양--->풍기--->영주 로 일정을 잡으세요.이천, 여주는 전철로 가능합니다. 동서울쪽에서 이천 가는 버스가 있기는 하지만, 전철이 편하죠.이천은 신둔…2025-03-26
-
Q&A - 그럴걸요 반응보려고2025-03-18
-
Q&A - 가장힘들었던곳에서2025-04-01
-
Q&A - 양구돌산령지게놀이(楊口돌산령지게놀이)2025-03-31
-
Q&A - 한밤중에 갑자기 카톡오면 무섭지않나요 저만 그랬나 안그래도 페메 관련된 무서운 영상 봐서 개 쫄아이썽는데...ㅜㅜ2025-03-29
-
Q&A - 남자 혼자 일주일동안 20만원으로 여행2025-03-26
-
유머 - 움직이는 양꼬치2025-03-25
-
Q&A - 성별 상관없이 같겠죠?2025-03-18
-
Q&A - 이런 남자가 오늘날 한국에 있다면 대한민국 모든여자 다 가져요?2025-03-16
-
유머 - 잔소리 똥2025-03-15
-
Q&A - 더 큰 행복으로 느껴질듯요본 답변은 저의 지식과 저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글입니다.또한,특정 답변은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수익이 발생할 수 있는 관계가 얽혀 있음을 밝힙니다.답변을 추천해주시면 소외된 이웃에게 기부할 수 있는 해피빈이 답변자에게 지급됩니다. 기부할 수 있도록? 추천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되시길 바랍니다.2025-04-01
-
Q&A - 힘들었던 곳을 그대로 놔두면 힘들었지 하며 슬픈 추억을 회상하지만 , 그 장소에서 행복한 기억을 만들면 비록 그땐 힘들었지만 그 일 덕분에 행복했었지라며 행복한 추억으로 바꿀 수 있으니 좋은거죠. 비극을 비극으로 두는것 보다 희극으로 바꾸려는 그 노력과 생각자체가 이미 충분히 행복한 사람인거 같아요2025-04-01
-
Q&A - 1999년 7월 30일 강원도무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당시 팔랑마을 나무꾼들이 돌산령을 오르며 하던 놀이이다. 화전을 일구어 생활하던 산간 농촌지방의 전통 민속놀이로, 대암산(大巖山)·도솔산(兜率山) 등을 끼고 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전해오고 있다. 당시 나무꾼들은 지게장단을 치며 동네를 1바퀴 돈다. 그러면 나무꾼이 점차 늘어나게 되고, 장단은 점차 흥겨워진다. 이렇게 모인 40여 명의 나무꾼들은 산을 오르면서 지게 상여를 꾸민다. 그런 후 편을 갈라 싸움을 하기도 하고, 장례 절차를 그대로 흉내내는 등 장난을 친다. 그러다…2025-03-31
-
Q&A - 종목 : 시도무형문화재 7호분류 : 놀이와의식소재지 : 강원 양구군 동면 팔랑리지게놀이는 우리나라 전통의 운반수단이었던 지게를 이용한 민속놀이이다. 산이 많고 따로 길이 없는 농촌과 산촌에서는 지게가 필수적인 운반수단이었다. 강원도 양구지방에서는 노동의 고달픔과 단조로움을 잊고 즐거움을 얻고자 지게를 이용한 놀이를 했다. 양구 돌산령지게놀이에는 개인적으로 승부를 내는 지게걸음싸움과 단체로 하는 상여 놀이가 있다. 지게걸음싸움은 지게의 두 다리 위에 올라가 지게 머리를 잡고 걸어가서 상대를 부딪쳐 쓰러뜨리는 놀이이다. 상여놀이는 편을…2025-03-31
-
Q&A - 갑자기 모르는 사람한테 오면 개서름돋죠;;바로 차단 박습니다2025-03-29
-
Q&A - 무서운거 보면 더놀라요2025-03-29
-
Q&A - 찜질방은 전국이 코로나 때문에 안되고,1박에 15,000원짜리 게스트하우스도 구하기 힘들어요.2만원으로 게산하면 6박에 12만원나머지 8만원으로 먹고 이동해야 합니다, 왠만하면 체류지에서 걷구요.아마 추가로 10만원 정도는 더해야...아침 3,000원x 6끼+점심/저녁 8천원 x 13끼 = 122,000원이천--->여주--->원주--->제천--->단양--->풍기--->영주 로 일정을 잡으세요.이천, 여주는 전철로 가능합니다. 동서울쪽에서 이천 가는 버스가 있기는 하지만, 전철이 편하죠.이천은 신둔…2025-03-26
-
Q&A - 그럴걸요 반응보려고2025-03-18
SNS
댓글목록 3
광장동시계토끼님의 댓글
개이름을 따서 수지엄마라고도
했답니다
340평대지에 안채말고
방갈로같은 방이 여러개 있고
낚시하시는 분들이나 휴가를 보내려
많은분들이 드나들고 했답니다
텃밭에는 갖은 야채를 심었고
인테리어를 하시든 분이라
보기좋게 잘지었다고 합니다
이집에 위치를 아시는 분들은
연락바랍니다
남현맘님의 댓글
철원쪽인데 낚시터가 많고
남대천 앞이라고도
한것 같습니다
대지가 340평정도에
안채말고도 방갈로 같은
방이 몇개있다고 들었습니다
6~70대노부부로
미국에서 인테리어
기술자로 살다가
전원생활을 하시기위해
쥔장이 그림같은 집을
몇년어 걸쳐 완공해서
지인들이 휴양지로
많이 이용했다고 합니다
줜장께서 상품이 쌀인 낚씨대회를 가셨다가
집에오셔서 심장마비로 돌아가셔
할머니께서 그집에서 머물지
못하시고 지금은 부동산 매물로
내놨다고 하는데 집에위치나
신현숙이란 할머니 연락처를 아시는분
연락바랍니다..
마피아님의 댓글
강포지 철원에 있는 강포지는 첫 얼음낚시와 해빙기 막바지 얼음낚시가 호조를 띠며, 씨알좋은 붕어를 걸어낼 수 있는 곳이다. 어종은 붕어와 잉어이고 주포인트는 제방 좌우측 하류지역이며 상류지역은 수초가 많아 좋은 여건을 제공하는 듯하나 물이 맑고 모래바닥이라 입질받기가 쉽지 않다. ▷의정부를 거쳐 포천에서 직진, 만세교를 지나 영중을 거쳐 성동검문소에서 좌회전해 올라가면 영북면 면소재지인 운천에 닿는다. 운천에서 43번 국도로 나가 신철원, 문혜리 방면으로 약4㎞를 가면 우측에 저수지 제방이 나타난다. ▶학지 강원도 철원군 동송읍 오덕리에 위치한 학지는 축조된지 70년이 넘는 오래된 저수지로 만수면적 54만평의 대형 평지형저수지다. 수면적이 넓고 지령이 오래된 만큼 어자원도 풍부하다. 강원도 최북단에 위치해 가장 빨리 얼음낚시 시즌이 시작되는 저수지 중 하나다. 이곳의 얼음낚시는 무엇보다 첫탕을 노려야하는데 그 이유는 마리수는 물론이거니와 씨알 굵은 놈을 낚는 절호의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평지지인 탓에 전반적인 수심이 1∼2m 내외를 이루고 있어 짧은 대로 효과적인 낚시를 할 수 있다. 이른 아침엔 연안 수초대를 중심으로 구멍을 뚫다가 정오가 가까워 오면서 중앙부나 물골자리의 맨바닥을 노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수수초 보다는 말풀 바닥이 더 씨알이 굵게 낚인다. 입어료 1만원을 받는 유료낚시터로 운영되고 있다. ▷의정부를 거쳐 철원 방면 43번 국도를 이용해 포천·운천을 경유한다. 운천에서 철원 방면으로 1.5km 지점에서 좌회전, 관인을 경유해 동송에 이른다. 동송읍내 사거리에서 오덕리 쪽으로 우회전해 약 5km 가면 저수지 좌측권에 닿는다. ▶학 저수지 퇴수로 학저수지의 퇴수로는 100% 토종만 낚이며 밤낚시에 씨알이 특히 굵은데 글루텐에 붕어 입질이 잦다. ▷의정부에서 신철원행 43번국도를 타고 운천을 지나면 나오는 첫 검문소에서 좌회전하여 동송읍까지 간다. 동송읍에서 직탕폭포행 팻말을 보고 우회전해 조금 가면 삼거리가 나온다. 여기서 좌회전해 학지 입구를 지나면 다리가 나오는데 다리 건너기 전 죄회전해 비포장 둑길로 1㎞ 정도 내려가면 포인트. 다리 지나 좌회전 포장길로 가도 되나 콘크리트 직벽 밑에 자리를 잡아야 하므로 불편하다. ▶금연지 강원도 철원군 동송면 오지리에 위치해 오지리지라도 불리는 금연지는 6만여평 규모의 계곡형 저수지로 유료낚시터가 되기 전에는 월척터로 아주 유명했었다. 금학산 계곡물이 유입돼 수질이 최상급이다. ▷의정부에서 신철원행 43번국도를 타고 포천 운천을 지나 송정검문소에서 동송쪽으로 좌회전. 동송읍을 향해 가다보면 왼쪽으로 금연낚시터 팻말이 보인다. ▶철원 한탄강 유역 강원도에 속해 있으면서도 경기북부와 가까운 한탄강은 물맑고 경치도 수려해 가족동반 낚시터로 좋은 곳. 그 중에서도 동운동 다리 부근은 어자원이 풍부하고 아직 사람이 많이 가지 않았던 곳으로 붕어 대낚시터로도 훌륭하다. 비가 온 후 안정될 때쯤에 좋은 조황을 보이는데 이때는 씨알과 마리수 모두 좋다. 붕어는 물론 잉어와 누치·무래무지 등 온갖 강고기가 있으며 운이 좋으면 쏘가리도 낚이는 강낚시 명소이다. 동운동 다리 밑으로는 물 흐름이 있으므로 끝보기 낚시만이 가능한데 붕어보다는 강고기 낚시터다. 하지만 의외의 대물이 자주 달라붙기도 한다. 다리 아래로 150m를 내려가면 깊은 소가 있는데 대낚 포인트다. 낮낚시보다는 밤낚시에 조과가 좋다. 특히 지난번 폭우로 수량이 풍부해져 가을 시즌에 더욱 기대된다. 지렁이나 떡밥 모두 좋으며 다소 긴 대가 유리하다. 주변에 모래사장이 있어 야영하기에도 좋다. ▷의정부를 거쳐 철원 방면 43번 국도를 타고 의정부-포천-운천으로 간다. 운천삼거리 검문소에서 신철원 방면으로 약 6km를 가면 유명아파트가 있는데 좌회전해 '드리니' 마을로 진입했다가 마을에서 다시 좌회전해 약 2km를 가다가(중간에 1km정도는 비포장)한탄강 진입로 쪽으로 우회전하면 된다. ▶철원 한탄강 승일교 주변 마당바위 일대가 송대소가 일급 포인트이다. 이 곳 포인트는 모래바닥보다는 하류쪽 소가 있는 곳이 좋다. 특히 소 바깥쪽 바위 위에서 2~2.5칸 정도의 짧은대로 공략을 하면 마릿수 손맛을 톡톡히 볼 수 있다. 이곳은 물이 다소 도는 단점이 있지만 찌톱을 3~5마디 정도 물 밖으로 내놓고 낚시를 해도 입질이 크기 때문에 얼마든지 찌맛을 볼 수 있다. 챔질 시기도 일반 낚시터와는 약간 차이가 나는데, 처음에는 찌가 꿈뻑대다가 슬며시 물 속으로 들어간다. 좀 더 지켜보고 있으면 찌가 완전히 물 속으로 들어가는데 이 때를 놓치지 않고 챔질을 해야 걸어낼 확률이 높다. '마당바위'라는 이름은 넓고 편편한 바위가 강 한가운데 마치 평상 처럼 놓여 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인데, 30여명은 족히 앉아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만큼 넓은 마당 같은 바위가 대여섯 개 놓여 있다. 이 역시 한탄강이 만들어 놓은 자연 평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는 마당바위 아래는 잡어낚시 포인트로 유명한 곳이었는데,주차를 할만한 공간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 단점이다. 마당바위 위 도로쪽에 있는 음식점 앞에 주차를 해야 하지만 이 음식점에서는 손님 외에는 주차를 못하게 한다. 실제로 이 음식점에서 개인 소유의 땅이라는 푯말을 세워두었다. 특히 이 곳 송대소 일대는 많은 종류의 강고기가 꾼들을 유혹하는 곳으로, 낚이는 씨알도 비교적 굵기 때문에 소문을 듣고 몰려드는 꾼들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또 작년에 한탄강 위쪽으로 새로 포장도로가 생겨났기 때문에 최근에는 굳이 음식점에 주차를 하지 않아도 된다. 마당바위 주차장에서 강을 따라 2차선 포장도로를 300m 정도 달리면 강 밑에서부터 두 가닥의 취수장 전선이 올라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것을 따라 내려가면 바로 송대소 포인트까지 진입이 가능하다. 한탄강은 밤낚시에 특히 조황이 좋다는 것인데 한 곳에 앉아서 기다리는 낚시를 하기보다는 부지런히 발품을 팔면서 조금이라도 깊은 수심대를 찾아 여기 저기 포인트를 물색해야 한다. ▷서울에서는 의정부-포천-신철원을 지나 문혜리까지 간다. 문혜리에서 고석정 방면으로 좌회전, 2km 정도 가면 승일교에 닿는다. 승일교를 중심으로 상류쪽으로 마당바위, 송대소가 있고 하류쪽 굴바위부터 순담까지 낚시자리가 펼쳐진다. ▶철원 대교천 철원 대교천은 민통선내에서 흘러들어 포천 냉정지 밑을 지나 한탄강으로 유입된다. 이 강은 매년 월척을 마릿수로 배출하는데 포인트를 알고있는 동네꾼들만 몰래 빼먹고있다. 수로이면서도 한탄강의 절경이 군데군데 살아있고 장마철에는 한탄강에서 강고기들이 거슬러올라오고 토교지 등 전방의 대형저수지에서 내려온 고기들이 많다. 대교천은 양안의 논에 물을 대는 유일한 수로이기 때문에 보가 8개나 있다. 농사를 지을때는 보를 막아 물을 가두지만 추수가 끝나면 물을 빼는데 현지인들은 이 보들을 이평리저수지, 장흥리저수지하는 식으로 부른다. 만수일 때는 굵은 붕어가 물이 빠지면 대형 메기가 낚이고 특히 냉정저수지 뒤편 국수동수로에서는 엉뚱하게 쏘가리가 입질한다. 국수동수로에는 2개의 보가 있는데 방앗간 밑 보는 피라미등 잡어낚시가 주류고 마을중앙으로 들어가는 보는 전형적인 돌붕어낚시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