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월군뉴스] 고물가에 올해 1분기 가구 실질소득 7년 만에 가장 큰 폭 감소

본문

1분기 가계 실질소득 1.6%↓…실질 근로소득 통계작성 이래 최대 낙폭
대기업 상여금 줄어 소득분배 지표 개선

올해 1분기 가구 실질소득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명목소득은 늘었지만 물가가 더 큰 폭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4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가구당(1인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 월평균 소득은 512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1.4% 증가했다. 가계소득은 3분기 연속 증가했지만 증가 폭은 전 분기(3.9%)보다 크게 둔화했다.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이 상여금 감소로 인해 1.1% 줄어든 영향이 컸다. 가계 근로소득은 지난해 대기업 실적 부진에 따른 상여금 감소 영향으로 2021년 1분기(-1.3%)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물가를 반영한 가계 실질소득은 1년 전보다 1.6% 감소했다. 1분기 기준 2021년(-1.0%) 이후 3년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으로 2017년 1분기(-2.5%) 이후 7년 만에 가장 큰 폭의 감소세다. 실질 근로소득은 3.9% 줄며 감소세를 주도했다. 1인 가구를 포함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가구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8,000원으로 1년 전보다 3.0%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이자 비용 증가 등 영향으로 1.2% 늘어난 107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월평균 처분가능소득은 1.4% 늘어난 404만6,000원이었다.

처분가능소득보다 소비지출이 큰 적자가구 비율은 26.8%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상여금 감소로 소득분배 지표는 개선됐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각각 115만7,000원, 1,125만8,000원이었다.

이진석 통계청 가계동향수지과장은 “물가만큼 소득이 늘지 않았기 때문에 가구 실질소득이 마이너스가 된 것”이라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2,05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