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의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풍성한 결실로 마무리 1070명 435개 팀 이뤄 참가 산업부 장관상 등 24점 시상 ‘첨단기술 융복합’특강도 지난 13일 서울 코엑스에서 진행된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시상식에서 주요 …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우수 사례 산업부 장관상 | 서강대학교 ALAM 팀-이노시뮬레이션 2024 CES에 참여한 ALAM 팀(왼쪽부터 이상아·임주은·임종윤·김휘성 학생). ALAM 팀은 산학협력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스타트업을 창…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우수 사례 산업부 장관상 | 성균관대학교 KAV 팀-현대모비스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시상식에서 성과 발표를 하는 KAV팀 홍형근 학생.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 창구로서의…
‘2024 산학 프로젝트 챌린지’ 우수 사례 산업부 장관상 | 아주대학교 건강핑 팀-피지오닉스 산학 프로젝트에서 기념촬영을 하는 건강핑 팀 오태연·김한수 학생(왼쪽부터). 산업 현장에서 즉시 활용될 수 있는 혁신 기술의 개발 또한 산학 프로젝트의 주요한…
2027년 2월부터 식용 목적의 개 사육, 판매 등이 금지된다. 뉴스1 내년도 정부 예산안을 심사 중인 여야가 '개 식용 종식 사업' 예산을 400억원 증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 개 농장을 폐업하면 지원금을 주는 이 사업은 "김건희 여사 예산"으로 불…
문재인 전 대통령 사진. 평산책방 페이스북 문재인 전 대통령이 경남 양산의 평산책방에서 고양이와 뽀뽀하는 사진이 화제다. 공교롭게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심 재판으로 위기에 몰린 시점과 맞물려서다. 문 전 대통령은 20일 저녁 페이스북에 “평…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1일 당원 게시판 논란에 대해 "당에서 법적 조치를 예고한 바 있기 때문에 위법이 있다면 철저히 수사하고 진실이 드러날 것"이라고 밝혔다…
왕열 포스터 세종대학교(총장 엄종화) 세종뮤지엄갤러리 1관은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필치로 캔버스 가득 생명력 넘치는 자연을 그려내는 왕열 작가의 기획초대전을 개최한다. 11월 20일부터 12월 1일까지 세종대학교 내 세종뮤지엄갤러리 1관에서 개최되는…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 주장과 3대 사상통제 법안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북한인권결의안이 유엔총회 제3위원회에서 통과됐다. 유엔 총회 제3위원회가 20일(현지시간) 20년 연속 컨센서스로 북한인권결의안을 채택했다. 사진은 회의장 모습. 유엔 웹TV 캡처 …
캘리포니아 샌디에이고 해변에서 발견된 심해어 산갈치. 사진 스크립스 해양학연구소 엑스 캡처 이른바 ‘재앙의 전조’라고 불리는 대형 심해어가 미국 캘리포니아 해안에서 최근 3개월 동안 3번째로 목격됐다고 미 CNN 방송과 USA투데이 등이 20일(현지시간)…
무릎 꿇고 있는 A양(왼쪽)과 집단 폭행으로 뽑힌 A양 머리카락. 사진 JTBC '사건 반장' 캡처 경기도 포천시에서 중학생 무리가 초등학생 2명을 집단 폭행해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경기북부경찰청은 지난 8일 "초등생 딸이 집단 폭행을 당했다"는 …
소프트웨어와 스포츠의 만남,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시작 용인대학교(총장 한진수)는 11월 19일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I-MAP 교육체계 기반 스포츠 AI·SW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SW중심대학 비전 선포식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스포츠와 소프…
사진제공=미래엔 교과서 발행부수 1위 기업 ㈜미래엔이 지난 15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4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공유 및 시상식’에서 스마트공장 운영 우수사례로 선정되며 공로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은 미래엔이 스마트공장을 통해 생…
전국철도노동조합 부산지방본부 등이 20일 동대구역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구광역철도 등 신설선에 대한 안전대책 수립을 촉구하고 있다. 뉴스1 임금인상과 인력 충원 등을 요구하며 준법투쟁(태업) 중인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이 다음달 5일부로 총파업을 …
지난 8월 소나기성 호우에 침수된 울산 도로 모습. 연합뉴스 울산지역 배수펌프장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배수펌프장 관리자가 시설 운영 상황을 아예 모르거나, 일부 배스펌프장에는 원격제어 시스템 등도 갖추지 않았다고 한다. 배수펌프장은 빗물을 하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