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성군/정보] 횡성의 인물좀 알려주세요.

본문

횡성의 인물좀 알려주세요.

학교 과제에요. 꼭꼭꼭 좀 알려주세요.

 

39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2

여름이야기님의 댓글

1.김재로 (1682~1759)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청풍이고 자는 중례이다. 호는 청사 또는 허주자이고 우의정 구의 아들이다. 1702년(숙종 28)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10년 춘당대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설서검열지평수찬 등을 지냈다. 1716년 부수찬으로 선현을 무고한 소론의 유봉휘 정식을 탄핵하여 파직하게 하였다. 1718 헌납동부승지대사간을 지내고, 이듬해 전라도관찰사대사성승지를 거쳤으며, 전라도균전사로 양안(농민층의 토지대장)의 개정을 요구하였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호조참의,승지,부제학,이조참의 등을 지내고, 이듬해 대사간을 거쳐 병조참판과 예조참판을 지내고, 개성유수가 되었다. 1721 신축사화로 말미암아 파직되고 울산으로 귀양갔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이듬해 대사간에 기용되었다. 부제학으로 있을 때 양사와 더불어 소론측의 유봉휘이광좌 등 5인을 죄줄 것을 청하고, 소론의 김일경의 무고사실을 상소하여 사형하게 하였다. 이어 이조참판,좌빈객,예조참판을 역임했다. 1727년에는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재등장하게 되자 다시 파직되었다가 이듬해인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충주목사로 호서안무사를 겸하여 난의 수습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이어 이조참판으로 기용되었으나 당쟁을 조성한다하여 파직되었다가 곧 복직되어 지돈녕부사 겸 수어사를 지내고, 지춘추관사로 실록도청당상을 겸직하여『경종실록』편찬에 참여했다. 1731년 병조판서로 있으면서 신임사화로 죽은 노론의 김창집,이이명의 복관을 상소하여 이를 달성시켰다. 그 뒤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이 되었다. 1737년에도 당파싸움을 벌여 탕평책을 어긴 죄로 다시 파직되었다가 곧 복직되었고, 이듬해 판중추부사로 주청사가 되어 청나라에 가서 새로 간행된『명사』를 얻어왔다. 1740년 영의정에 올라 1758년 관직을 떠나기까지 네 차례에 걸쳐 10여년간 영의정을 지냈고, 그밖에도 영중추부사를 역임함으로써 그 세도가 매우 컸다. 1741년 신유대훈이라하여 임인옥안을 불사르고 특사하도록 하고, 5인의 역안을 그대로 둘 것을 주장한 박문수와 이종성 등을 파직하게 하였다. 이후 소론은 관직이 추탈되는 반면 노론의 권력기반은 더욱 확고해졌다. 신임사화로 희생된 노론 4대신에게 시호를 내리고 홍계적,김운택,조성복,이홍술 등은 증관하였다. 영조 초기에 탕평론을 주장한 바 있으나, 결국 노론의 선봉에서 영구적인 구실을 하였다. 또한, 영의정 재임기간 중 영춘추관사를 겸하여 한천이혁절목 10조의 제정과 과거의 의정절목 8조를 제정하고 왕실의 상복제를 바로 잡는 등 치밀하게 정사를 폈다. 50여년을 관직에 있으면서 거의 절반을 상신으로 지냈으며, 결백하고 검소한 성품으로 박식하며 예학에 깊었으며, 상하가 신망하는 재상으로서의 풍모를 지녔었다. 그리고 벼슬을 그만둔 뒤 집에 있으면서도 국사를 잊지 않았다. 영조는 숙종의 뜻에 따라 그를 기용하여 아꼈으며, 수서를 내려 그의 공로를 치하하였다. 봉조하로 78세에 죽으니 영조는 그 집에 직접 조문하고 제문도 친히 지어보냈다. 죽은 이듬해 기사대신이 되고, 영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천의소감언해』와『난여』가 있고, 편저로는『예기보주』『청풍김씨세보』『좌씨집선속』『금석록』등이 있다. 시호는 충정이다.

2.강도영
원주시 소초면 둔둔리 출신으로 횡성의 대표적인 의병장 중의 한사람으로서 횡성 천도교회의 수령이었다. 횡성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하다가 청일면 춘당고개에서 일본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그의 애국정신은 그의 가족에게 이어져 그의 막내 삼촌인 강달회와 아들 만형은 1919년 4월 1일 횡성의 31운동이 절정에 이르렀던 횡성 장날에 만세를 부르며 일본 헌병에게 항거하다가 현장에서 총을 맞아 쓰러졌고, 그의 아들 강만형은 체포되어 감옥에서도 끝까지 일제에 항거하다가 옥사하였다.

3.안세징 (1639 ~ ?)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광주이고 자는 자원이다. 호는 환성재이고 아버지는 여종이다. 송준길의 문인이다. 1675년(숙종 1) 진사가 되고, 그 이듬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 학유로 기용되어 송준길의 복작 추증을 상소하였다. 지평을 거쳐 1684년 장령이 되어 허견 등 남인들이 복선군남을 추대, 반역을 꾀한다고 무고하여 경신대출척을 일으키게 한 김환의 추국을 주장하였다. 정언,필선 등을 거쳐 1694년 다시 장령이 되어 민비의 폐비를 주장한 장희빈의 오빠 장희재를 규탄하였다. 그 뒤 진주목사를 거쳐, 1700년 종성부사가 되고 이어서 공조참의를 역임하였다.

4.강만형 (1887~1920.2.28)
활동분야3·1운동
출생지강원 원성
주요수상대통령 표창(1977), 건국훈장 애국장(1991)
1887년(고종 14) 강원도 원성(지금의 원주시)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천도교에 몸담아 1919년 3월 27일의 횡성읍 만세운동을 주도한 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거사 직전 천도교 횡성읍 대교구장인 최종하가 서울에서 손병희를 만나 독립선언서 10매를 가지고 돌아온 뒤 김인경 등 4명과 함께 거사를 계획 추진하였다.
이들은 동지들과 함께 60여 매의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제작해 거사 당일인 3월 27일, 장터에 모여든 300여 명의 군중에게 나누어 주며 독립 만세운동을 이끌었다. 그러다 일본 헌병에 체포되어 같은 해 6월 경성복심법원에서 이른바 보안법 위반 혐의로 8월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혹독한 고문으로 인해 1920년 2월 옥중 순국하였다. 1977년 대통령 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둥둥둥소리님의 댓글

회원사진

이렇게 꼼꼼히 써주시니 감사합니다.

전체 46,327 건 - 3071 페이지
댓글 제목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0
댓글+1
댓글0
댓글0
댓글+2
댓글+1
댓글0
댓글+2
댓글+1
댓글+4
댓글+1
댓글+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