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덕수 국무총리가 2월 20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10차 변론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헌법재판소=뉴스1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심판 선고 기일을 24일로 지정한 데 대해 국민의힘은 “상식적인 결과 기대”라고 …
“지난해 12월 3일 아침, 한 친구가 저에게 ‘한국에 쿠데타가 일어났다’고 했습니다. ‘드디어 북한에 쿠데타가 일어났구나’ 생각했는데, 남한이었습니다. 그렇지만 크게 놀라지는 않았습니다.” 역사가 유발 하라리가 20일 서울 종로구 노무현시민센터에서 열린 신간 '넥서스…
와이즈유 영산대학교 웹툰학과 '8인8색 시즌4' 홍보 포스터. 개성과 전문성을 갖춘 8명 이상의 현역 작가·PD가 재학생에게 생생한 웹툰산업 현장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영산대학교 웹툰학과 ‘8인8색’의 올해 라인업이 확정됐다. 와이즈유 영산대학교(총장…
지난 2018년 11월 12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첫 중국-캐나다 경제·금융 전략 다이얼로그에서 캐나다와 중국 국기가 걸려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중국이 마약 범죄에 연루된 캐나다인 4명에 대해 사형을 집행하면서 중국과 캐나다 간 갈등이 인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17일 백악관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군에 대한 대대적인 구조조정 칼날을 뽑을 태세다. 전 세계 각지의 전투사령부를 통합하거나 합동군 훈련과 교육 부서 폐지하고, 주일미군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전화통화로 우크라이나전쟁에서 에너지 관련 부분에서 일시 휴전하기로 합의했다. 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코끼리 바지' 입은 태국 내각. 사진 패통탄 총리 SNS 캡처 태국 정부가 외국 관광객이 즐겨 입는 자국 특산품 '코끼리 바지'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나섰다. 20일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태국 정부는 코끼리 바지를 '소프트 파워(soft pow…
우원식 국회의장(가운데)과 국민의힘 권성동(왼쪽),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연금개혁 관련 여야 합의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뉴스1 마침내 제3차 연금개혁이 마무리됐다. 2007년 2차 개혁 이후 18년 만이다. 여야는 …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공개적으로 찬성한 국민의힘 이수진 전북도의원(비례대표). 사진 전북특별자치도의회 이수진 ‘일당백’→‘공공의 적’ 이수진 전북도의원(비례대표)은 도의원 40명 중 더불어민주당 소속이 37명인 전북특별자치도의회에서 유일한 국민의힘 소속이다…
몽골 오르홍주에서 미팅 후 기념촬영하는 관계자들 대구한의대학교(총장 변창훈) 산학협력단 세대통합지원센터(센터장 안창근)는 지난 3월 4일부터 11일까지 8일간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를 포함해 오르홍주 에르데네트를 방문하고, ‘K-MEDI 전통의학 실크로드…
자신이 운영하는 태권도장에서 5살 남자아이를 심정지 상태로 빠뜨린 관장이 지난해 7월 19일 경기 의정부경찰서에서 검찰로 송치되고 있다. 뉴스1 지난해 7월 경기 양주시 한 태권도장에서 5세 아이를 매트에 거꾸로 넣는 등 학대해 숨지게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태…
조희대 대법원장을 비롯한 대법관들이 20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서 열린 강간치상 미수 논란 여부에 대한 전원합의체 선고를 위해 자리에 앉아있다. 뉴스1 성폭행이 미수에 그쳤더라도 피해자를 다치게 했다면 강간치상죄가 성립한다는 판례를 대법원이 거듭 확인…
백혜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가진 윤석열 대통령 신속 파면 촉구 기자회견에서 계란을 얼굴에 맞은 후 윤석열 지지자들에게 항의하고 있다. 뉴스1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발표가 기약 없이 늦어지면서…
‘N번방’ 강력처벌 촉구시위 관련 사진. 뉴스1 서울대 졸업생들이 동문 여성의 얼굴을 합성한 음란물을 만들어 유포한 ‘서울대 딥페이크’(서울대 N번방) 사건의 공범이 2심에서 감형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항소1-2부(재판장 안희길)는 20일 성폭력처…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야경 기상이변, 인구 감소, 감염병 확산, 국제적 갈등 등 우리 사회 전반이 크고 작은 변화를 겪고 있다. 농어촌 역시 이러한 흐름에서 예외는 아니다. 지역 소멸과 기후 위기가 심화되면서 농어촌의 지속 가능성을 고민해야 할 시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