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일본을 내세우고 있는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정권이 자위대 계급 명칭 개편 검토에 들어간다. 명목상으로는 ‘국제표준화’에 맞추겠다는 것이지만 외국 군대와 같은 체제로 개편하겠다는 취지다. 지난 5일 일본 육상자위대원들이 일본 아키타현에서 곰 퇴치 활동을 벌이고…
사진 방송화면 캡처 국민의힘 나경원 의원이 1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질의 과정에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이름을 잘못 부르는 해프닝이 벌어졌다. 여야가 ‘헌법존중 정부혁신 TF(태스크포스)’를 놓고 격렬한 공방을 벌이는 와중이었다. 나 의원은…
추경호 국민의힘 전 원내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13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체포동의안은 여야 합의에 따라 오는 27일 본회의에서 무기명 표결될 전망이다. 추 의원은 이날 국회 본회의장에서 의사국장의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보고를 지켜봤다. 의사국장은 이날 “…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민주화실천가족운동협의회(민가협) 인사들을 만나 “앞으로 더 나은, 행복하고 제대로 된 민주적인 나라, 인권 침해가 없는 자유롭고 투명하며 평등하고 공정한 나라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 헌신적인 투쟁에 감사하다며 90도 고개 숙여 인사했다. …
조국 전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0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대표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조국 전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구치소가 추워야 반성한다’는 황교안 전 총리의 과거 발언을 소환했다. 황 전 총리는 내란 선동 혐…
보수 논객 조갑제 대표. 사진 MBN 화면 캡처 보수논객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가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논란과 관련해 “2019년 조국 사태 때와 비슷한 민심의 격분이 느껴진다”고 말했다. 조 대표는 “이 사안이 자칫하면 정권의 중대 위기로 비화할…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3일 대장동 항소 포기를 둘러싼 검찰 내부 반발과 관련해 "법 위에 군림하는 정치 검사들을 더 이상 용납하지 않겠다"며 "정치 검사들의 특권을 보장하는 제도부터 폐지시키거나 과감히 뜯어고치겠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
혼마골프-말본골프가 협업 컬렉션을 공개했다. 사진 혼마골프 ◆혼마-말본, 협업 컬렉션 공개 혼마골프가 미국의 라이프스타일 골프 브랜드 말본골프와 함께 풀 라인업 협업 컬렉션을 선보인다. 이번 협업은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아이언, 퍼터 등으로 구성…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미국 정부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자금 지원 법안에 서명했다. 로이터=연합뉴스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연방정부 일시 업무중지)이 12일(현지시간) 종료됐다…
미국 의회. 로이터=연합뉴스 역대 최장기간을 기록한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연방정부 일시 업무중지)이 12일(현지시간) 밤 종료된다. 미 연방하원은 이날 오후 본회의에서 지난 10일 상원에서 수정 가결한 임시예산안을 표결에 부쳐 찬성 222표, 반대…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이 12일 사의를 표명했다. 대장동 사건 1심 판결에 대한 항소를 포기한 이후 닷새 만이다. 이로써 검찰은 검찰총장과 대검찰청 차장 모두 공석인 지휘부 공백 상태를 맞게 됐다. 김종호 기자 노만석 검찰총장 권한대행이 12일 ‘대장동 1심 …
브라질 벨렝에서 열린 COP30에 참석한 브라질 원주민들. EPA=연합뉴스 브라질 벨렝에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제30차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30)가 열리는 가운데, 올해에도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
한병훈 덕산고등학교, 윤윤구 한양대 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교사가 1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영역 출제 경향 및 분석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은 지난해와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실시된 13일 오전 인천 미추홀구 인화여자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시행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의 수험생 필적 확인 문구는 ‘초록 물결이 톡톡 튀는 젊음처럼’…
형제복지원 관련 훈령이 정식 발령된 1975년 이전 강제수용된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국가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형제복지원 사건에 대한 국가 배상 책임을 인정한 판결은 여러 차례 나왔는데, 책임 범위를 훈령 발령 전까지로 넓힌 첫 판단이다.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