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강산 2번 바뀌어도…‘실내악 축제’ 지켜온 예술감독
-
3회 연결
본문

지난해 4월 서울 종로구 윤보선 고택에서 열린 고택음악회. SSF의 하이라이트라고도 불리는 프로그램이다. 올해는 영성을 주제로 26일 오후 4시에 진행된다. [사진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
독주보다 다채롭고, 대규모 오케스트라 연주보다 친밀하다. ‘악기들의 소규모 앙상블’을 뜻하는 실내악은 고유한 음색을 지닌 악기들 간의 교감을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클래식 음악의 한 장르. ‘실내악 불모지’였던 한국에 2006년부터 이 장르를 알려온 ‘서울스프링실내악축제’(Seoul Spring Festival of Chamber Music, 이하 SSF)가 오는 22일 개막한다.

올해로 20년째 이 축제를 이끌고 있는 강동석 예술감독(바이올리니스트·71·사진)은 14일 서울 종로구 안동교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에도 전문 실내악 축제를 만들고 싶었다”며 “20년간 진행하며 청중들이 만족스러워 하고 연주자들이 즐거워할 때 가장 큰 보람을 느꼈다”고 말했다.
강 예술감독은 8세에 신동으로 이름을 알리며 데뷔한 바이올리니스트다. 10대에 미국으로 떠나 전 세계의 다양한 음악축제에 참여한 그는 서구에서 많은 사람이 즐기는 실내악의 매력을 국내에 전하고 싶어 2006년 SSF를 시작했다. 20년간 매해 다른 주제로 실내악의 다채로운 매력을 소개했다. 특히 한국에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곡과 신예 연주가들을 선보인 것이 큰 성과로 꼽힌다. 피아니스트 선우예권과 조성진 또한 SSF를 거쳐 갔다.
1회부터 SSF를 함께 해 온 연세대 김상진 교수(비올리스트·53)는 이날 회견에서 “20년간 구심점이 되어 온 강 예술감독이 SSF의 색이자 정체성”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이어 “그 나라 문화 척도는 실내악 수준이라는 말이 있다. 실내악 연주회에 오면, 작곡가의 더 세밀한 내면을 알 수 있고, 연주자를 더 가까이 볼 수 있다”고 실내악의 매력을 강조했다. 연세대 김영호 명예교수(피아니스트·69)는 “연주자로서 실내악은 다른 이들의 소리도 함께 들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발전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설명했다.
올해의 주제는 ‘20 캔들스(20 Candles)’. 자축의 의미로 켠 촛불의 숫자를 의미한다. 22일 개막 공연을 시작으로 다음달 4일까지 총 14회의 공연이 예술의전당 IBK챔버홀, 세종문화회관 세종체임버홀, 윤보선 고택 등에서 진행된다. 강 예술감독과 김상진·김영호 교수를 포함한 총 69명의 예술가가 무대에 오른다. 작년 아트실비아 실내악 콩쿠르 특별상에 빛나는 리수스 콰르텟, 동양인 최초로 오스트리아 빈 국립음대에서 성악 강사를 역임한 베이스 바리톤 안민수 등이 올해의 새로운 얼굴이다. 예능프로 등에 출연해 널리 알려진 바이올리니스트 대니 구도 6년째 함께한다.
20주년을 맞아 본 윌리엄스의 ‘종달새의 비상’, 발터 라블의 클라리넷 4중주, 프라이스의 피아노 5중주 등 그동안 SSF에서 가장 인기 있었던 작품들도 선보일 예정이다.
강 예술감독은 SSF를 이어가기 위한 조건으로 두터운 실내악 팬층 확보, 안정적인 재정 기반을 꼽았다. 그는 “펀딩 등 자금지원이 개막 2달 전에 확정되다 보니 섭외가 쉽지 않다”며 “한국에서 실내악이 전성기를 맞을 때까지 앞장서 활동하고 싶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