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호랑이·흙신·금수저·천재…‘4대 천왕’ 시대
-
1회 연결
본문
로저 페더러(44·스위스), 라파엘 나달(39·스페인·이상 은퇴), 노바크 조코비치(38·세르비아·세계 5위)가 이끌던 남자 테니스 ‘빅3’ 시대가 저문 가운데, 무한경쟁 시대를 거쳐온 여자 테니스는 ‘4대 천왕’ 체제로 굳어지는 분위기다. ‘테니스 여제’ 세리나 윌리엄스(44·미국)의 은퇴 후 이어진 8년간의 춘추전국시대에 마침표를 찍은 네 주인공은 아리나 사발렌카(28·벨라루스·세계 1위), 이가 시비옹테크(24·폴란드·2위), 제시카 페굴라(31·미국·3위), 코코 고프(21·미국·4위)다. 이들은 다음 달 프랑스오픈 테니스대회의 유력한 우승 후보다.

사발렌카
사발렌카는 무서운 상승세로 ‘만년 이인자’ 꼬리표를 뗐다. 시비옹테크에 밀려 2022년부터 3년 가까이 세계 2위에 머물렀던 그는 지난해 메이저 대회를 두 차례(호주·US오픈) 우승하며 1위로 올라섰다. 팬은 사발렌카를 ‘호랑이’라고 부른다. 왼쪽 팔뚝에 큼지막한 호랑이 타투가 있어서다. ‘코트에서 호랑이처럼 용맹하게 끝까지 싸우자’는 의미로 새겼다. 플레이 스타일도 맹수 같다. 큰 키(1m82㎝)에서 내리꽂는 강서브가 위력적이다. 이번 프랑스오픈에서 네 번째 메이저 타이틀에 도전한다.

시비옹테크
시비옹테크는 사발렌카에 1위 자리를 내줬지만, 여전히 ‘최강 선수’다. 현역 여자 선수 중 메이저 최다(5회) 우승자다. 네 차례가 프랑스오픈(2020·22·23·24년)이다. ‘클레이 제왕’ 나달(프랑스오픈 14회 우승)과 닮아 별명도 ‘여자 나달’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프랑스오픈에서도 시비옹테크를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로 꼽는다. 수학 문제 풀이와 독서를 취미로 즐기는 시비옹테크는 영리한 경기 운영으로 상대를 제압한다. 꾸준한 경기력이 장점이다. 축구의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37·바르셀로나)와 함께 폴란드 ‘국민 영웅 남매’이다.

페굴라
페굴라는 부단한 노력으로 정상급 선수가 됐다. 대기만성형이다. 페굴라는 ‘하프 코리안’이자 ‘금수저’ 출신으로도 유명하다. 어머니 킴(56)이 한국계 입양아 출신이다. 미국인 기업가 테리(74)와 1993년 결혼해 페굴라를 얻었다. 페굴라 부부는 천연가스·부동산 사업으로 큰돈을 벌었다. 경제지 포브스가 추산한 페굴라 부부의 자산이 67억 달러(약 8조7000억원)다. 페굴라는 부유한 환경 속에서도 나태해지지 않고 훈련에 매진했다. 2020년까지 세계 60위권이던 페굴라는 20대 후반에 급성장했다. 28세였던 2022년 세계 3위에 올랐다. 지난해 US오픈 준우승이 최고 성적인 그는 이번 프랑스오픈에서 첫 메이저 타이틀을 노린다.

Tennis - WTA 500 - Stuttgart Tennis Grand Prix - Porsche Arena, Stuttgart, Germany - April 19, 2025 Coco Gauff of the U.S. in action during her quarter final match against Italy's Jasmine Paolini REUTERS/Angelika Warmuth〈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고프는 2004년생 ‘초신성’이다. 18세 때이던 2022년 프랑스오픈에서 준우승하며 세계 테니스계를 놀라게 했다. 이어 이듬해 US오픈에서 우승하며 ‘세리나 윌리엄스의 후계자’로 떠올랐다. 테니스를 시작한 것도 세리나 때문이다. 2009 호주오픈 TV 중계에서 우연히 세리나의 플레이를 보고 반했다. 농구선수 출신 아버지와 육상선수 출신 어머니의 유전자를 받은 고프는 어린 시절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10대 때부터 후원사들이 몰렸는데, 포브스에 따르면 고프는 2022년 스폰서 계약으로 100억원 이상 벌었다. 고프는 빠른 발과 강한 체력이 강점으로 꼽힌다. 또 정교한 샷과 지구력을 무기로 상대를 압박한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