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 국무부 북한 인권 특사직 다시 공석… 터너, 지난 1월 면직

본문

17453568457429.jpg

줄리 터너 전 미 국무부 북한인권특사. 사진은 지난해 ‘2024 북한인권 서울포럼 : 자유를 향한 여정, 북한이탈주민과의 동행’에 패널로 참석한 모습. 뉴스1

미국 국무부의 북한 인권 특사직이 다시 공석이 된 사실이 22일(현지시간) 뒤늦게 확인됐다.

6년간 비어 있던 이 자리에 2023년 임명됐던 줄리 터너 대사가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면직되면서 특사직은 다시 공석이 됐다. 도널드 트럼프 정부 2기를 맞아 민주주의 및 인권 관련 조직을 대폭 축소하는 개편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뤄진 조치다.

국무부에 따르면 터너 대사는 현재 민주주의·인권·노동국에서 부차관보 직무대행으로 근무 중이다.

그는 2023년 10월 상원 인준을 거쳐 북한 인권 특사로 임명됐지만 정권 교체 후 올해 1월까지만 특사직을 맡은 뒤 물러났다.

터너 대사의 면직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따라 정부 내 각종 특사직이 일괄 정리된 과정에서 이뤄졌다고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이 출범하면서 전임 바이든 정부에서 임명되거나 신설된 특사들이 대부분 정리된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인권 문제를 외교 정책의 핵심으로 두지 않는 만큼 지난 임기처럼 북한 인권 특사직이 장기간 공석으로 남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 외교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특사를 포함해 기존 특사직에 새 인물을 임명할 수 있지만 아무도 임명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터너 대사는 2023년 1월 바이든 당시 대통령에 의해 북한 인권 특사로 지명됐다. 지명 전까지 해당 직책은 6년간 공석이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2017년 첫 임기 시작 당시 퇴임한 로버트 킹 특사 후임을 임명하지 않았고 바이든 정부에서도 후임 지명이 늦어진 결과다.

북한 인권 특사직은 2004년 10월 발효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마련됐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6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