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2월 출생아 수 11년 만에 증가…8개월째 아기 울음소리 커진다
-
1회 연결
본문

서울 강서구 마곡동 코엑스 마곡에서 열린 '2025 마이비 마곡 베이비페어&유아교육전'에서 방문객들이 육아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월 기준 출생아 수가 11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혼인 증가와 저출생에 대한 정부정책, 사회적 관심 등의 영향으로 출산이 늘고 있다.
23일 통계청의 ‘2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 출생아는 2만35명으로 1년 전(1만9413명)보다 3.2%(622명) 늘었다. 월별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 이후 8개월째 늘고 있다. 2월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늘어난 것은 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증가 폭은 2012년 2월(2449명) 이후 13년 만에 가장 크다.
지난해 10월(13.4%)부터 11월(14.3%), 12월(11.6%), 올해 1월(11.6%)까지 4개월 연속 10%대 증가율을 기록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 폭(3.2%)은 다소 줄었다. 2월 합계출산율 역시 1년 전보다 0.05명 증가했지만 0.82명에 그치며, 지난 1월(0.88명)보다 낮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부산 등 9개 시도에서 출생아가 늘었고 광주·세종 등 8개 시도에서는 감소했다. 다만 지난해 2월이 윤달(29일)이었던 점을 고려해 계산하면 올해 2월(28일)의 출생아 수 증가율은 7.0%(하루당 669명→716명)가 된다.
출산 선행지표인 혼인 건수는 지난 2월 1만9370건으로 1년 전(1만6948건)보다 14.3%(2422건)나 늘었다. 2월 기준으로 2017년(2만1501건) 이후 8년 만에 가장 많다. 혼인은 지난해 4월 이후 11개월째 늘고 있다.
혼인 건수가 반등한 건 2023년부터다. 코로나 19 확산으로 미뤄뒀던 결혼식을 치르는 부부가 늘면서 이런 흐름이 나타났다. 2차 베이비붐 세대(1964~1974년)가 주로 아이를 낳던 1991~1996년에는 연간 출생아 수가 70만명대에 달했는데, 당시 태어난 에코붐 세대(1991~1996년생)가 결혼 적령기인 30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결혼이 늘고 있는 것이다. 혼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대, 혼인을 장려하는 정부 정책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통상 혼인 신고 이후 2년 후에 첫째 아이가 태어나는데, 2023년 이후 혼인 건수가 꾸준히 늘어난 만큼 출생아 수도 당분간 늘어날 거란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증가 등 영향으로 출생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며 “출생아 증가세가 당분간 계속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통계청의 ‘3월 국내인구이동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이동자 수는 54만9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6% 감소했다. 동월 기준으로 1974년 3월(50만1000명)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규모다. 단기적으로는 최근 주택거래 감소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이동이 잦은 젊은 층이 줄어들면서 거주지 이동이 구조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