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서울시, 지하 20m까지 살피는 '지반침하 관측망' 설치한다

본문

서울시가 지표면으로부터 2m 내외의 위험 요소만 탐지 가능했던 지표투과레이더(GPR)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해 운영한다. 또 노후하수도 정비 예산을 기존 한해 2000억원 선에서 두 배로 늘린 4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본지 4월 22일자 20면〉

서울시, '지하공간 관리혁신안' 발표

1745391567872.jpg

'지반침하 관측망' 기기의 모습. 지반 내에 기둥형 관측 센서를 박아넣어 지하 약 20m까지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토사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진 서울시

서울시는 23일 이런 내용을 중심으로 한 ‘지하공간 관리혁신안’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소규모 지반 침하는 물론 지하 굴착공사장 주변에서 주로 발생하는 대형 지반 침하까지 예방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담고 있다. 시는 우선 주요 공사장 등에 ‘지반침하 관측망’을 설치해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 장비는 지반 내에 기둥형 관측 센서를 박아넣어 지하 약 20m까지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토사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지반침하 관측망을 주요 현장에 설치하는 건 국내 지자체 중 서울시가 최초다. 시는 이 장비를 강동구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 현장에 인접한 9호선 4단계 1공구 현장에 다음 달부터 우선 설치할 계획이다.

17453915680372.jpg

지반침하 관측망 개념도. 지반 내에 기둥형 관측 센서를 박아넣어 지하 약 20m까지 지반침하 등으로 인한 토사 변화량을 측정할 수 있다. 사진 서울시

지반 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꼽혀온 30년 이상 된 노후 상ㆍ하수도관 교체사업에도 속도를 낸다. 특히 하수도관은 기존 연평균 2000억원을 투입해 한해 100㎞씩 정비했던 것을, 앞으로는 매년 4000억원을 투입, 연간 200㎞를 정비한다는 목표다. 지하 굴착공사장 안전관리를 위한 GPR 탐사 장비와 인력도 확대한다. 시는 우선 15억원을 들여 현재 4대인 차량형 GPR 3대를 추가로 도입, 총 7대를 운영하기로 했다.

안전과 관련한 정보도 적극적으로 공개한다. 우선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공사 구간 등 시내 철도 공사장 5곳(49.3㎞ 구간)과 자치구 선정 50곳(45㎞) 등에 대한 GPR 특별점검 결과를 공개하고, 지반침하 시민신고에 대해서도 신고 내용과 조치 결과를 주기적으로 알릴 계획이다. 그에 더해 대형 굴착공사장 중심의 ‘지반 특성 반영 지도’도 제작해 공개할 예정이다.

예방활동에도 더 신경을 쓰기로 했다. 지하 10m 이상 굴착 및 터널굴착공사장 특별점검 주기를 연 1회에서 월 1회로 줄이는 게 대표적이다. 그에 더해 서울시는 지하공간의 체계적인 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해 전담 조직인 ‘지하안전과’를 신설한다.

17453915682183.jpg

오세훈 서울시장이 23일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지하 암반 굴착 현장을 점검하고 있다.

한편,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강남구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 공사 현장을 방문해 복합개발사업의 추진현황과 안전관리 대책 등을 점검했다. 오 시장은 이날 "시민 안전과 밀접한 지하공간 관리 및 지하공사 관리의 혁신이 이뤄져야 시민들이 땅꺼짐(싱크홀) 불안에서 벗어날 수 있다"며 "지하굴착 공사 및 상하수도 지하 시설에 대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혁신 투자를 해 도시 안전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916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