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LG전자, 컨콜 이어 CEO도 '가격 인상 검토' 재차 언급..…

본문

17455511849514.jpg

조주완 LG전자 CEO가 지난 2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특별 강연에 앞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가 ‘미국발 관세 영향’에 대해 “관세 인상 폭이 우리가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면 (미국향 가전제품의)가격 인상을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조 CEO는 지난 24일 오후 특별강연을 위해 찾은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에서 취재진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같은 날 열린 1분기 실적발표 후 콘퍼런스콜에서 LG전자가 “관세 대응 전체 금액에 대한 판가 인상 등 전체 로드맵은 이미 준비돼 있다”는 발언이 나온 데 이어 CEO가 재차 ‘가격 인상’에 대해 언급한 것이다.

조 CEO는 “운영 효율화 등을 통해 (관세를)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은 최대한 수용할 것”이라는 전제를 붙였다. LG전자는 미국 테네시 공장에서 세탁기와 건조기를 제조하고 있으며, 멕시코에서는 생활가전(냉장고·조리기기)과 TV를, 베트남에서는 냉장고·세탁기 등을 생산하고 있다. 현재 미국 정부는 국가별 상호관세는 유예하고 전 세계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만 부과한 상태다. LG전자는 상호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주요 가전 생산지를 미국 현지로 옮기거나,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에 기반한 스윙 생산 체제, 가격 인상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검토 중이다.

일각에선 제기되는 미국 공장 증설 가능성에 대해 조 CEO는 “미국 생산 기지 건립은 마지막 수단이라고 생각한다”며 “우선 생산지 변경이나 가격 인상 등 순차적인 시나리오에 따라 해야 할 것 같다”고 했다.

본격적인 관세 효과는 올해 2분기부터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조 CEO는 “풀인(관세 정책 시행 전 제품을 미리 사두는 행위) 효과는 1분기에 그렇게 크지 않았다”며 “관세로 (실적이) 악화가 되든, 플러스가 되든 2분기부터 시작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통상 정책 변화가 가시화하는 2분기에는 1분기보다 실적이 둔화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인도법인 기업공개(IPO) 시점에 대한 입장도 밝혔다. LG전자는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청구서 수정본 작업을 완료하고 제출 시점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 CEO는 “6월이 될지 언제가 될지 모르겠지만, 글로벌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 만큼 몇 개월 정도 지켜보려고 한다”며 “IPO를 통해 돈을 많이 가져오겠다는 게 목적이 아니다. 회사 가치가 제대로 평가받고 주주 가치도 생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7455511851526.jpg

조주완 LG전자 CEO가 지난 24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제1공학관에서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에게 CEO 특강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날 조 CEO는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기술로 완성하는 경험의 혁신’을 주제로 강연했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3,420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