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바이러스가 집 지으면 사마귀…'이것' 주의 안 하면 온가족 큰일

본문

피부 감염병 대처 이렇게

17456520778779.jpg

면역력이 약해진 틈을 타고 손발에 오돌토돌 돋아나는 것이 사마귀다. 사마귀는 바이러스가 피부에 집을 짓는 것과 같다.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가 피부의 미세한 상처 틈으로 파고들어 상피세포를 비정상적으로 증식시키면서 생긴다. 감염성 피부 질환이다. 티눈은 마찰로 생긴 압력 반응이란 점에서 다르다.

피부 감염병 대처 이렇게

사마귀 감염 시기는 수개월 전일 수도 있다. 대부분은 기억도 안나는 순간의 상처를 통해 바이러스가 피부 속에서 조용히 자리를 잡는다. 그러다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피부 마찰이 잦아지면 어느 날 오돌토돌하게 솟아오르며 신호를 보낸다. 하지만 사마귀가 굳은살처럼 보여 그냥 두고 보는 경우도 많다.

사마귀는 증식하고, 전파된다. 특히 발바닥 사마귀는 체중이 실리는 부위에 생기며 찌릿한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 특징이다. 잘못 건드렸다간 더 넓게 퍼진다. 인천성모병원 피부과 우유리 교수는 “검은 점이나 점상 출혈이 보이면 사마귀일 가능성이 크다. 자가 진단 말고 피부과에서 확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사마귀는 전염성이 높다. 눈에 안 보여도 퍼진다. 같은 수건, 슬리퍼, 운동 매트를 함께 쓰기만 해도 전파될 수 있다. 특히 소아와 청소년, 면역력이 약한 성인은 감염되기 쉽다. 가족 간 전염도 자주 일어난다. 병변을 무심코 긁거나 뜯는 행동은 금물이다. 손에 묻은 바이러스가 얼굴, 손톱 밑, 다른 신체 부위로 쉽게 옮겨간다. 우 교수는 “사마귀가 생기면 가족에게도 바로 알리고 접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사마귀는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개수가 늘고 범위가 퍼진다. 일반적인 치료는 액화 질소로 얼렸다 녹이는 과정을 반복해 제거하는 냉동치료다. 고주파로 태우거나 레이저로 혈관 구조를 파괴하는 방법도 있다. 약물치료, 면역요법도 활용된다.

완치율은 60~70%다. 20% 정도는 재발한다. 면역 관리와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우 교수는 "사마귀를 예방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피부 면역력 유지"라고 강조했다. 바이러스를 이길 수 있는 힘은 몸에서 나온다.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균형 잡힌 식사, 규칙적인 운동이 피부 방어력을 지켜준다. 수영장·헬스장·찜질방 등에서는 슬리퍼를 신고, 개인 수건을 사용하는 게 좋다.

※이럴 땐 병원으로 가세요

-병변이 빠르게 늘거나 커짐
-통증이나 출혈 동반
-손·발·얼굴 등 노출 부위에 생겨 스트레스를 줌
-아이가 무심코 긁고 아파함

사마귀 종류

특징 및 발생 부위

주요 HPV 유형

보통사마귀

손가락, 얼굴, 손톱 주변

2형, 4형 등

편평사마귀

작고 납작, 얼굴·손등에 무리지어 발생

3형, 10형

발바닥사마귀

체중 실리는 부위에 통증 유발

1형

생식기사마귀(곤지름)

성기·항문 주변, 자궁경부암 연관 가능

6·11·16형 등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038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