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얼굴 추가로 인증해 주세요"…'SKT 해킹&…
-
3회 연결
본문
SK텔레콤의 유심(USIM) 정보 유출에 대한 대응이 금융권에서 확산하고 있다. 보험사에 이어 캐피탈사도 SK텔레콤 이용자의 휴대전화를 통한 본인인증을 중단했다. 은행권은 ARS 등 기존의 본인인증 외에 안면 인증 방식의 본인 확인 절차를 추가해 보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근 SK텔레콤 고객정보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28일 오전 유심 교체를 위해 서울 시내 한 SK대리점을 찾은 고객들. 장진영 기자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은 고객이 기존과 다른 휴대전화 기기를 사용해 금융거래를 시도할 경우 안면 인식 등 추가 인증 절차를 거치도록 한다. 은행에 등록된 신분증 사진과 계좌 개설이나 이체를 시도하는 회원의 얼굴을 대조해 본인임을 확인하는 방식이다. 당초 휴대전화 본인인증 외에 ARS 방식으로 인증을 해왔는데 안면 인식까지 추가해 혹시 모를 개인정보 도용으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로 했다.
이 외에 시중은행은 이상 거래가 의심되는 경우 계좌를 즉시 정지하는 등 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애초 통신사 인증 하나만으로 은행 거래가 가능하지 않은 시스템”이라면서도 “통신사와 무관하게 보안 강화를 위해 안면 인식 절차를 오늘부터 도입했다”고 말했다.
KB라이프, NH농협생명 등 보험업계에서 SK텔레콤 고객의 휴대전화를 통한 인증을 중단한 데 이어 KB캐피탈도 인증 중단에 동참했다. 인증 중단 해제 시점은 정해놓지 않고 해킹 피해 우려가 해소될 때까지 휴대전화 인증을 통한 로그인은 차단한다. 삼성카드, KB국민카드, 롯데카드 등 여신업계는 공지사항 등을 통해 SK텔레콤 고객은 SMS 문자메시지 대신 앱 기반 인증수단을 이용해달라고 안내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