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美 구호단체 '다이렉트 릴리프'에 서울평화상…"…
-
3회 연결
본문
미국의 의료 구호단체 '다이렉트 릴리프'(Direct Relief)가 전 세계 136개국 소외 계층의 의료 접근권을 높이고 의료 불평등을 완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8일 서울평화상을 받았다. 1948년 설립된 다이렉트 릴리프는 "모든 사람은 어떤 환경에 처해 있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권리가 있다"는 신념 하에 구호 활동을 펼쳐왔다.

염재호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이사장과 다이렉트 릴리프 최고경영자(CEO) 바이런 스콧 박사가 2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7회 서울평화상' 시상식에서 함께 상장을 든 모습.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지난 2월 다이렉트 릴리프를 수상자로 선정한 서울평화상문화재단은 이날 오후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제17회 서울평화상' 시상식을 열었다. 염재호 재단 이사장은 개식사에서 "다이렉트 릴리프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즉각적이고 직접 의약품과 의료용품을 제공해 의료 접근성을 향상하고 글로벌 의료 불평등을 완화하는 데 크게 공헌하는 등 인도주의를 실천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염 이사장은 특히 다이렉트 릴리프가 지난달 경상도 지역 산불 당시 3만 달러(약 4330만원)의 현금 지원과 간호사 등 의료 인력, 그리고 식량, 생필품을 비롯한 구호물자를 제공한 것을 언급했다. "적극적 평화를 실천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평가하면서다.

다이렉트 릴리프 최고경영자(CEO) 바이런 스콧 박사가 2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17회 서울평화상' 시상식에서 트로피를 들어보이는 모습. 서울평화상문화재단
이날 시상식에 참석해 상금 20만 달러(약 2억8800만원) 등을 대표로 수상한 다이렉트 릴리프의 최고경영자(CEO) 바이런 스콧 박사는 "평화란 단지 갈등이 없는 상태가 아니라 모든 이들에게 존엄·기회·희망이 존재하는 상태이며, 건강이 지켜질 때 사람들은 교육·일·꿈을 향해 나아갈 수 있다"며 "이것이 바로 다이렉트 릴리프가 매일 추구하는 평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수상은 평화가 가장 근본적인 방식, 즉 모든 사람의 건강과 복지를 지원하는 것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며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상을 받게 돼 영광"이라고 덧붙였다.

국제 의료 구호단체인 '다이렉트 릴리프'의 구호 활동 모습. 다이렉트 릴리프
다이렉트 릴리프는 2000년 이후에만 전 세계 136개국에 걸쳐 160억 달러(약 23조 912억원) 이상의 의료 지원과 3억 5000만 달러(약 5051억원) 이상의 보조금을 제공했다. 또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 현지에 4200만 달러(약 606억) 규모의 재정을 지원했고, 138차례에 걸쳐 의료 물품을 배송해 인도주의 활동을 실천했다. 다이렉트 릴리프는 독자적 물류시스템을 통해 의료용품이 필요한 곳에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접근해 의료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의 생명을 구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인종, 종교, 정치적 신념 등과 관계없이 활동을 진행해왔다.

국제 의료 구호단체인 '다이렉트 릴리프'의 구호 활동 모습. 다이렉트 릴리프
서울평화상은 서울올림픽 평화 정신을 기리기 위해 1990년 제정된 국제평화상이다.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과 앙겔라 메르켈 전 독일 총리 등이 역대 수상자다. 또한 앞선 수상자인 국경없는의사회(3회), 코피 아난 전 유엔 사무총장(4회), 무하마드 유누스 그라민은행 총재(8회), 드니 무퀘게 판지병원 원장(13회) 등 4명은 서울평화상을 받은 이후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