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우 순경 사건 희생자에 사죄” 경찰 43년만에 사과

본문

“뒤늦게나마 경찰이 이렇게 희생자 유가족을 기리며 사과하니 이젠 여한이 없다.”

지난 26일 경남 의령군 궁류면 ‘의령 4·26 추모공원’에서 열린 ‘의령 4·26 위령제’에 참석한 전원배(84)씨가 한 말이다. 전씨는 ‘우 순경 사건’으로 여동생을 잃은 희생자 유족이다. 우 순경 사건은 1982년 4월 의령경찰서 궁류지서에서 근무하던 우범곤(당시 27세) 순경이 총기와 수류탄을 들고 궁류면 4개리를 돌아다니며 총기를 난사, 56명이 숨지고 34명이 다친 사건이다. 이날 경찰은 사건 발생 43년 만에 공식 사과했다.

김성희 경남경찰청장은 “무고하게 희생당한 분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대한민국 경찰을 대표해 이 자리에 섰다”며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유가족, 여전히 그날의 상처를 안고 살아가시는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김 청장은 “국민을 보호하고 지켜야 할 경찰이 오히려 국민에게 위해를 가하는 결코 있을 수 없고, 있어서도 안 되는 일이 벌어져 한없는 비통함과 부끄러움을 느낀다”고 자책했다.

이에 유영환(65) 유가족 대표는 “경남경찰청장이 진정성 있는 사과문을 발표했다”며 “이제라도 우리 유가족은 한이 좀 풀릴 수 있게 됐다”고 화답했다.

90명 사상자를 낸 우 순경 사건은 단시간 최다 살인으로 기네스북에 오를 만큼 한국 경찰 창설 이래 최악의 사건으로 손꼽혔다. 하지만 사건은 발생 일주일 후 사실상 언론보도가 사라졌다. 당시 전두환 군사정권 하에서 보도 통제가 되면서다. 이후 사건 발생 42년 만인 지난해 우순경 사건 희생자에 대한 첫 위령제와 추모식이 열린 데 이어 올해 위령제에서 43년 만에 경찰의 공식 사과가 나온 것이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501 건 - 1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