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어뢰 배트’ 휘두르는 자, 욕심에 휘둘리면 ‘꽝’
-
2회 연결
본문

시즌 초반 장타율 상승의 무기로 꼽혔던 어뢰 배트. 요즘 인기가 시들해졌다. [AP=연합뉴스]
올 시즌 메이저리그(MLB)에서 장타율 혁명을 일으킨 이른바 ‘어뢰 배트(torpedo bat)’의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다. 홈런포를 때려내며 어뢰 배트 전도사 역할을 하던 선수들 활약이 이전만 못해서다.
뉴욕 양키스 내야수 재즈 치좀 주니어(27)가 대표적이다. 그는 어뢰 배트로 올 시즌 초반 5개의 안타 중 3개를 홈런으로 장식했다. 잠시나마 장타율을 1.167까지 끌어올렸는데, 이는 통산 장타율(0.445)의 2.6배다. 28일 현재 장타율은 0.406까지 떨어졌다. 타율마저 0.178로 부진해 통산 타율(0.245)을 깎아 먹고 있다.
어뢰 배트를 쓴 지난 1일 첫 경기에서 홈런 2개, 2루타 1개 등 5타수 4안타를 기록해 주목받은 신시내티 레즈 내야수 엘리 데 라 크루스(23) 상황도 비슷하다. 한때 OPS(출루율+장타율)가 1.346까지 치솟았는데, 통산 OPS(0.772) 수준인 0.771로 되돌아갔다.
어뢰 배트를 들고나와 무서운 장타자로 변신했던 타자들이 점차 고전하는 이유로 전문가들은 “욕심”을 꼽았다. 장타 기대감 때문에 그 전보다 쉽게 방망이를 휘두른다는 얘기다. 장타율과 타율이 함께 떨어지는 이유이기도 하다.
투수들의 ‘맞춤형 투구’도 어뢰 배트 무력화에 한몫했다. 손잡이 반대쪽 끝부분이 가장 무겁고 두꺼운 일반 배트와 달리 어뢰 배트는 타자의 배팅 성향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위트 스폿(공에 주로 받는 부위)을 손잡이 쪽으로 6인치(15㎝) 정도 옮겼다. 이로 인해 배트 바깥쪽 부위로 타격할 경우 전보다 상대적으로 힘이 덜 실린다. 투수들이 이를 간파해 어뢰 배트 타자를 상대할 때 바깥쪽으로 떨어지는 공을 많이 던져 배트 끝부분으로 치게 한다는 것이다.
매사추세츠공대(MIT) 물리학 박사 출신으로 어뢰 배트를 개발한 애런 린하트 마이애미 말린스 필드 코디네이터는 “어뢰 배트가 타자의 단점까지 메우진 못한다”며 “마법을 부리는 건 결국 방망이가 아니라 선수”라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