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3명 살리고 떠난 남편, 친구들도 장기기증 약속했다…'기증 공개&…
-
3회 연결
본문

뇌사 장기기증 후 병원 내 '기증자의 벽'에 이름을 올린 김대철씨 명패 옆에 꽃다발이 놓여있다. 사진 김연희씨
"대철씨…." 남편 이름을 부르니 10여초간 목이 메었다. "둘이 만난 19년 동안, 매일 크리스마스처럼 행복하게 살았다고 말해주고 싶어요."
인라인 국가대표 출신의 44세 김대철 씨는 지난해 갑상샘 수술 부위 이상으로 뇌사에 빠져 간·신장을 기증하고 하늘로 떠났다. 사랑하는 이를 먼저 보낸 슬픔에도, 부인 김연희 씨는 "3명을 살린 잘한 결정"이라며 기증 사실 공개에 동의했다.
김연희 씨는 25일 중앙일보와의 통화에서 "(공개 결정엔) 많은 분이 남편을 기억해줬으면 하는 마음이 가장 컸다"면서 "두 딸도 아빠가 나온 기사를 보면서 굉장히 자랑스러워 한다. '훌륭한 삶을 살고 가신 분'이라는 댓글에 큰 위로가 됐다"고 말했다.
김대철 씨가 남긴 사랑은 세상에 뿌려졌다. 기증 수혜자가 "하루 4번씩 투석했는데, 다시 태어났다 생각하고 사랑을 베풀며 살겠다. (기증자) 가족을 떠올리며 매일 기도하며 살겠다"란 편지를 김연희 씨에게 보냈다고 한다. '선한 영향력' 덕분에 김씨 주변의 친구·지인도 장기기증 희망등록에 새로이 나섰다.
"남편 기억해줬으면, 두 딸도 자랑스러워해"

뇌사 장기기증 전까지 19년을 함께 한 김대철씨(오른쪽)와 김연희씨 부부 사진. 사진 김연희씨
뇌사 장기기증 사실을 공개하는 가족이 꾸준히 늘면서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28일 한국장기조직기증원에 따르면 뇌사 장기·조직기증 공개(언론보도)에 동의한 사례는 2020년 17명에서 2022년 25명을 거쳐 지난해 46명으로 증가했다. 올해도 이날까지 13명의 '숭고한 마무리'가 공개됐다.
특히 지난해엔 의정갈등에 따른 전공의 이탈 등으로 뇌사 장기기증자가 급감하면서 13년 만에 400명 선을 밑돌았다(397명). 하지만 쉽지 않은 결정임에도, 생명을 살리는 기적을 공유한 가족들은 되레 늘었다.
인식 변화에…'의정갈등'에도 기증 공개 늘어

김영옥 기자
여기엔 사회적 인식이 "가족 팔아 돈 번다" 식의 이유 없는 비난에서 "아름다운 나눔" 같은 존경과 공감으로 전환된 게 큰 역할을 했다. 예전엔 장기 매매 등 극단적 소재가 많았던 영화·드라마 등 미디어에서 뇌사 기증에 대한 긍정적 묘사가 늘어난 것도 작용했다.
장기기증 코디네이터인 송기동 씨는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에 나온 뇌사 장기기증 장면을 보고 어린 자녀의 기증을 결정했다는 부모님도 있었다. 기증 관련 다큐멘터리·드라마 등을 접한 가족들이 아무래도 기증에 동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말했다. 2년 전 결혼을 앞두고 뇌사에 빠진 딸 김건혜 씨의 생명 나눔을 공개한 김보정 씨는 "앞서 장기를 기증한 제주도의 (9살) 고홍준군 기사를 봤던 게 기증 사실을 공개하는 데 영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인식 개선 선순환…"또 다른 기증 이어지길"

2023년 9월 뇌사 상태에서 장기기증으로 4명을 살리고 떠난 김건혜씨(오른쪽)와 어머니 김보정씨. 사진 김보정씨
이는 '인식 개선→공개 확대→인식 개선·기증 증가'라는 선순환이 이어지곤 한다. 선진국보다 갈 길이 먼 한국의 뇌사 장기기증을 지탱해주는 힘인 셈이다. 기증자 가족 지원을 맡는 노은정 기증원 과장은 "(기증자 가족들이) 기증 사실을 알리면서 또 다른 기증으로 이어졌으면 하는 생각을 제일 많이 얘기한다"고 말했다.
김준혁 씨는 다운증후군·뇌출혈 같은 병마와 싸우다가 올 1월 세 명을 살리고 떠났다. 그의 어머니 김미경 씨는 아들 사연을 다룬 기사를 종종 휴대전화에서 꺼내본다. 그는 "댓글도 좋은 내용만 달리더라. 이를 볼 때마다 '기증하길 잘했다'고 느낀다"면서 "준혁이가 그냥 떠났으면 오히려 지금 아무것도 못 했을 거다. 세 사람을 살리고 떠났으니 이렇게 살 수 있다"고 말했다. 조만간 본인의 장기기증 희망등록도 할 예정이다.
거부감과 악플 있지만…"후회하지 않는다"

병실에 누워있는 김준혁씨(가운데)를 찾은 어머니 김미경씨(오른쪽)와 누나. 다운증후군을 가진 김준혁씨는 올해 1월 뇌사 장기기증으로 3명을 살리고 떠났다. 사진 김미경씨
다만 뇌사 기증 자체에 거부감을 갖는 주변 시선이나 기증자 가족을 비난하는 악플도 여전히 남아있다. 이 때문에 기증 결정을 꺼리거나 기증 후 비공개로 하는 가족이 적지 않다. 한 기증자 유족은 "지인들에게 '그 무서운 걸 왜 하냐'는 말을 들었다"면서 "안 좋은 댓글에도 상처를 안 받았다면 거짓말"이라고 했다.
하지만 기증을 결정하고, 이를 공개한 가족들은 후회하지 않는다고 했다. 4명을 살린 결정을 한 김보정 씨의 말이다.
"우리 딸은 필요한 분들에게 간 장기를 통해 살아있을 겁니다. 악플을 봐도 '인식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겠다'는 생각만 합니다. 다른 분들도 당당하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선택을 한 가족입니다'라고 말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목록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