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턱없이 부족한 유심…SKT 5월 중 '유심포맷' 새 대책 꺼냈다

본문

17459256579212.jpg

가입자 유심(USIM) 정보를 탈취당한 SK텔레콤이 유심 무료교체 서비스를 시작한 지 이틀째인 29일 서울 시내 한 SKT 대리점에 시민들이 줄을 서서 교체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연합뉴스

가입자 정보 해킹 대책으로 무상 유심 교체를 진행 중인 SK텔레콤이 재고 부족 등 난항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 달 중순쯤 '유심 포맷'을 적용하겠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29일 보도자료를 내고 "유심 재고 부족, 로밍 이용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네트워크인프라센터 등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유심 소프트웨어 변경(유심 포맷) 방식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사는 가입자 유심 유출 사건이 발생한 이후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권유와 함께 지난 28일부터 무료로 유심을 바꿔주고 있다. 하지만 이용자가 한꺼번에 몰리면서 매장에 긴 대기 줄이 늘어서고 온라인 예약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자 소비자 불만이 높아졌다.

또 이 회사의 유심 보유분이 이달 100만개, 다음 달 500만개가량으로 알뜰폰 포함 전체 가입자 2500만명 유심을 대체하기에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지며 유심 교체 방안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SK텔레콤은 "유심 재고가 수요에 비해 부족하고 교체 처리 시 소요되는 시간 등 문제로 하루 교체 물량에 한계가 있다"고 인정하면서 물리적 유심 교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유심 포맷'을 제시한 것이다.

회사는 유심 포맷 작업이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면서 앱 재설정과 데이터 백업 등 물리적 교체에 수반되는 불편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유심 포맷 역시 이용자가 매장을 방문해 유심 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한다.

0
로그인 후 추천을 하실 수 있습니다.
SNS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52,783 건 - 1 페이지